고종석 “제정신 사원이면 쪽팔려 죽을 지경”
MBC 뉴스데스크의 알통 굵기로 보수‧진보를 분석한 보도가 네티즌들의 조롱을 받고 있다. 외신 기사의 논문을 자의적으로 해석했다며 네티즌들은 “MBC 바보인증” 등의 비난을 쏟아냈다.
<뉴스데스크>는 18일 저녁 “알통의 굵기가 신념에 영향을 미친다”며 두 남성의 사례를 소개했다. MBC <뉴스데스크> 앵커 출신 권순표 중견기자는 ‘뉴스플러스’ 기획 코너에서 의학전문기자 등과 함께 ‘유전자와 이념‥보수·진보 체질 따로 있나?’란 제목으로 리포팅했다.
임 씨와 금 씨는 각각 알통둘레가 35cm, 31cm이었다. 임 씨와 금 씨는 ‘재분배 정책’에 대해 각각 “더 어려운 사람이 있다고 국가에서 과도하게 세금을 걷는다면 좀 지나치지 않을까?”, “세금을 거둬서 가난한 사람들에게 나눠주는 건 국가의 의무이고 책임”이라고 상반된 견해를 피력했다.
MBC는 이와 관련, “알통이 굵은 남자들 다수가 자신의 경제적 형편에 유리한 이념을 선택한 반면, 알통이 가는 남자들 다수는 자신의 이익을 대변하는 데 소극적 이었다”는 이코노미스트의 보도를 소개했다.
그러나 이코노미스트의 기사(지난해 10월)와 인용된 논문의 요지는 “상체 근력이 더 높은 남성일수록 자기 이익을 부합하는 정치적 의사 결정을 하는 경향이 나타난다(men with greater upper body strength more strongly endorsed the self-beneficial position”는 것이다.
또, “강한 남성은 그들의 입장에 관한 의견을 주장했다. 가난한 이는 재분배를 선호, 부자는 그 반대였다. 그러나 마른 남성들은 그들의 의견을 주장하는 경향이 훨씬 덜했다(strong men argued for their self interest : the poor for redistribution, the rich against it. Weaklings, however, were far less inclined to make the case that self-interest suggested they would)”고 보도했다.
이에 따르면 부와 빈의 계급과 상관없이 알통의 크기가 큰 남성일수록 자신의 의견을 강하게 주장하는데 비해 알통이 가는 남자는 상대적으로 그렇지 않다는 것이다.
즉, 알통의 크기 차이는 보수와 진보의 ‘이념’ 차이가 아니라 ‘주장 강도의 차이’와 관련이 있다는 것이다. 이는 MBC의 ‘알통 굵은 남성은 보수, 알통이 가는 남성은 진보’로 구분한 보도와는 다른 해석이다.
<미디어오늘>은 19일 MBC 보도에 대해 “시청자들에게 조롱거리가 될 뿐만 아니라 정치적 의도까지 의심케 만든다”며 “자기 이익에 따른 정치적 의사 결정을 ‘신념’으로, 신념을 ‘(한국식)보수와 진보’로 해석하는 공영방송의 사고 회로를 시청자들은 어떻게 바라봐야 할까?” 라며 비평했다.
진중권 동양대 교수(@unheim)는 트위터에서 해당 뉴스 화면을 캡쳐한 사진을 리트윗하며 “오늘의 개그”라고 적었다. 작가 고종석(@kohjongsok)씨도 “MBC 뉴스데스크의 알통뉴스는 초대형 방송사고다. 그걸 판단하지 못할 만큼 MBC가 맛이 갔나? 이건 동아일보의 몰락보다 훨씬 드라마틱한 광경! 제정신 가진 MBC사원이라면 지금 쪽팔려 죽을 거 같을 게다”라고 올렸다.
이밖에도 네티즌들은 “근육량이 많은 사람이 더 자기주장이 강하다 정도를 꼬고 왜곡해 자기들 입맛에 맞춘 더러운 모습이다”(세계********), “이명박이 진보였다니..ㅋㅋ”(욕심***), “이제 MBC가 갈 때까지 갔네”(플**), “보디빌더들은 다 보수네요 그럼?ㅋㅋ”(돌고**), “진짜 갈수록 쓰레기가 되어 가네 공중파 수준이 참”(옐로***), “MBC 왜 이렇게 되었죠?”(두더**), “강건한 신체 VS 왜소한 신체, 우성 VS 열성, 보수 VS 진보 이런 식의 프레임이 짜지네요 허허”(mag*******), “너무 어이 없어서 합성이겠지 했는데 진짜네요”(다**), “새로운 시도에 박수를 드립니다. MBC가 완전히 바보인증 하네요”(다른******) 등의 조롱 댓글을 쏟아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