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사용료 7억2000만원.. 호수 수위 저하문제 공개해야
13일 송파구와 롯데에 따르면 양측은 인공호수인 석촌호수의 수위를 유지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한강 물을 투입하고 있다. 2009년 64만톤, 2010년 38만톤, 2011년 48만톤, 2012년 66만톤, 2013년 94만톤, 지난해 123만톤의 한강물을 끌어다 썼다.
물 사용료도 법에 따라 양측이 지불하고 있다. 롯데는 호수 내 매직아일랜드를 사용하고 있어 비용을 부담하고 있다. 물 사용료는 2009년 1억원, 2010년 6000만원, 2011년 8000만원, 2012년 1억1000만원, 2013년 1억6000만원, 지난해 2억1000만원 등이다.
특히 물 투입량은 지난해 30%가량 급증했다. 송파구와 롯데는 이런 현상이 2013년 하반기부터 시작된 제2롯데월드 건설에 따른 시민 불안과 무관하지 않다고 인정했다.
롯데는 매직아일랜드 사용 계약 시 수질관리에 대한 책임을 지기로 하고, 석촌호수 수위를 4.5~5m 유지해왔다. 그러나 물 투입 외에 압력으로 오염물질을 띄워 건져내는 가압부상법 등 수질관리 방법이 다양화면서 송파구와 롯데는 수위를 4~4.5m로 낮췄다.
하지만 제2롯데월드 안전 논란이 이슈화되면서 호수 수위가 낮아진 게 제2롯데월드 때문이라는 지적이 일었다. 이에 송파구와 롯데는 인위적으로 수위를 낮췄던 배경은 밝히지 않고 한강 물을 추가로 끌어와 넣었다. 이 때문에 비용이 2013년보다 5000만원이 더 들었다.
그러나 한강 물을 투입하는 구간은 물 빠짐 현상이 유난히 강한 모래층이어서 ‘밑 빠진 독에 물 붓기’란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롯데 관계자는 “경관 유지를 위해 연 50만톤 정도가 초과로 투입되고 있는 게 사실”이라고 말했다.송파구 관계자도 “수위 4.5∼5m 구간 측면 콘크리트 시설물이 있는데 수위를 조금만 낮춰도 그게 바로 보이다 보니 주민 불안도 늘고 경관 관련 민원도 있어 다시 높였다”고 설명했다.
이에 전문가들은 제2롯데월드 건설과 석촌호수 수위 저하 간 연관성을 밝히는 연구용역 결과와 더불어 수위 조정 등 모든 정보를 시민과 공유해야 불안도 수그러들 수 있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