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당 정진후 “불필요한 논란에 시간 허비하면 안 돼” 쓴소리
7일 오전 10시 정부세종청사,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의 국정감사에서 세월호 참사를 다룬 다큐멘터리 영화 <다이빙벨>을 두고 여야 의원들간 설전이 벌어졌다. 부산국제영화제의 상영 논란이 국정감사로까지 옮겨 붙은 것.
이날 논쟁의 시작은 새정치민주연합 안민석 의원의 발언이었다. 안 의원은 김종덕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에게 “영화 <다이빙벨>를 정치영화라고 생각 하느냐?”고 질문하자 김 장관은 “(영화를) 직접 보지 않아 내용을 잘 모르겠다”고 답했다.
이에 안 의원이 “이번 주 금요일(10일) 부산에서 상영할 예정이니, 제작사 표현의 자유를 보장하는 의미에서 관람하는 것이 어떻겠느냐”고 제안하자 김 장관은 “다른 스케줄이 없다면 관람해보겠다”고 말했다.
김 장관의 입장이 다소 달라지자 여당 의원들은 즉각 반발했다. 여당 의원들은 “장관은 말을 가려서 조심해야 한다. 정치권이 나서서 영화제를 흔드는데 문체부는 거리를 지켜야 한다”며 김 장관을 몰아붙였다.
같은 당 박대출 의원은 “국고를 지원해서 국격이 훼손되면 잘못된 국고지원이다”고 하자 김 장관은 “딱 잘라 그렇게 얘기하긴 그렇지만 많은 논란이 있었다”고 조심스럽게 답했다. 박 의원이 이어 “표현의 자유 여부를 떠나 그런 문제가 있는지 전반적으로 감사할 필요가 있다”라고 요구하자 김 장관은 “한번 들여다 보겠다”고 짧게 답했다.
정의당 정진후 의원은 “<다이빙벨> 문제를 갖고 얘기하지 않겠다”며 “<다이빙벨>을 놓고 ‘국격, 국격’ 하는데 상임위에도 격이 있다. 불필요한 논란에 시간을 허비하면 안된다”고 여야를 비판했다.
이후 여야 의원들은 <다이빙벨>를 두고 20여 분간 고성을 주고 받았다. 이에 설훈 위원장이 “교문위가 제대로 운영될 수 있도록 각자 노력해 달라”고 중재하자 오후까지 이어진 <다이빙벨> 논쟁은 종결됐다.
앞서, 제19회 부산국제영화제 초청작으로 선정돼 상영취소 압박 등 논란에 휘말린 다큐멘터리 영화 <다이빙벨>은 지난 6일 베일을 벗고 관객과의 첫 만남을 가졌다.
- 영화 <다이빙벨> 논란 속 관객과의 첫 만남.. 반응은?
- “다이빙 벨 상영 반대 세력이 바라는 건 대중적 망각”
- 영화인들, BIFF서 “수사권 포함된 특별법 제정” 촉구
- 영화 <다이빙벨>, 상영 취소 압박 속 첫 티저 공개
- ‘TV조선’, 방통심의위 제재 1위.. 불공정성 심각
- 영화인들 “부산시, 국제적 신뢰 저버리는 행위” 비판
- 부산시민단체 “다이빙벨 상영 금지? 전례없는 부당 외압”
- “영화는 영화일 뿐 <다이빙벨> 상영돼야”
- 서병수, <다이빙벨> 상영 반대.. 영화계 “평가는 관객 몫”
- 세월호 일반인 가족대책위 <다이빙벨> BIFF 상영 반대
- 부산국제영화제 초청작 <다이빙벨> 상영중단 압박 심각
- 방심위, JTBC ‘다이빙벨 보도’ 재심 청구 기각
- [인터뷰] “영화 <다이빙벨>홍보는 저희에게 맡기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