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유 운영자 전달내용 묵살…공개되자 뒤늦게 수사
국가정보원의 대선개입 의혹 사건과 관련 인터넷 사이트 ‘오늘의 유머(이하 오유)’ 운영자가 의심스러운 정황이 있는 아이디 30여개를 경찰에 넘겨줬으나 경찰 상부에서 수사확대를 묵살했다는 주장이 나왔다. 운영자는 결국 정식 수사를 요청했다.
또 경찰은 김씨와 같은 활동을 한 지인 이모씨의 신원을 확인하고도 한달이 다 돼가도록 한번도 조사를 하지 않았다.
8일 <한국일보>에 따르면 오유 운영자 이호철(41)씨는 7일 “국정원 사건과 관련해 경찰 수사에 협조하면서 지난 1월 중순쯤 국정원 여직원 김모(29)씨의 오유 아이디 16개와 관련된 것으로 보이는 또 다른 아이디 30여 개를 확인, 서너 차례에 걸쳐 경찰에 넘겼으나 ‘민주당 고발장에 적시된 김씨의 혐의가 인정돼야 추가수사를 할 수 있다’는 게 경찰 상부의 입장이라 수사가 어렵다는 수사실무팀의 말을 들었다”며 “이 때문에 30여개 아이디의 실체파악 조사를 요구하는 진술조서를 작성했다”고 밝혔다.
30여개 아이디의 실체를 밝히기 위해 통신회사 압수수색 등이 필수적이었지만 경찰은 상부의 묵살로 관련 수사를 진행하지 않다가 최근 30여개 아이디가 언론에 공개되자 조사를 벌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이씨는 지난해 12월 22일 경찰의 서버 압수수색 뒤 주요 참고인으로 10여 차례 서울 수서경찰서에 출석해 오유 사이트의 구조와 특성 등에 대해 자문했다. 또 국정원 여직원과 관련된 사용자 아이디 검색 작업을 도왔다. 경찰은 민주당이 당초 고발한 김씨의 노트북 컴퓨터 하드디스크에서 확인한 오유 아이디 16개로만 김씨의 행적을 조사해왔다.
이씨가 새로 찾아낸 아이디 30여 개는 김씨 아이디 16개와 거의 동일한 시점인 대선 4개월여를 앞둔 지난해 8월 만들어졌으며 모두 정부, 여당에 유리한 글을 서로 추천하는 패턴을 보였다.
운영자 이씨는 아이디 30여 개가 김씨 아이디 16개의 IP(인터넷상 컴퓨터 고유주소)와 일치하거나 대역이 비슷해 김씨와 관련된 아이디로 판단해 경찰에 넘겼다.
이와 관련, 당시 수사실무자는 상부의 수사확대 묵살 여부를 언급하지 않은 채 “다른 부분도 조사하고 있지만 피고발인인 김씨의 혐의 입증이 수사의 95%를 차지한다”고 말했다고 <한국일보>는 전했다.
수서경찰서 고위 관계자는 “이씨의 수사요청에 대해서도 아는 바 없고, 본청이나 서울경찰청에 수사인력지원을 요청하지도 않았다”고 말했다고 <한국>은 보도했다.
이에 대해 민주통합당 윤관석 원내대변인은 이날 국회 브리핑에서 “국정원 대선개입 사건의 새로운 사실이 또 드러났다”며 “더 이상 경찰에만 이 사건을 맡길 수 없다는 것이 국민적 여론이다”고 주장했다.
윤 대변인은 “엄중한 국기문란 사건인 이번 사건에 대한 국정조사는 국회의 필수적인 의무이자 역할”이라며 “새누리당은 즉각 국정조사 요구에 응하라”고 촉구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