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말 도심서 시민·대학생·교수 등 수사권‧기소권 보장된 특별법 제정 촉구
주말을 맞은 13일 서울 광화문 광장에서 기소권·수사권이 포함된 세월호 특별법 제정을 촉구하는 촛불문화제가 열렸다.
세월호 국민대책회의, 가족대책위, 세월호 대학생 연석회의, 민주화를 위한 전국교수협의회, 민주동문회 협의회가 주최한 이날 시민·대학생·교수·교사 촛불문화제에는 시민 천여명(경찰 추산)이 참석해 특별법 제정을 촉구했다.
이날 행사에는 ‘유민 아빠’ 김영오 씨가 단식 중단 이후 처음으로 촛불문화제 무대에 올라 정부·여당에 책임 있는 자세를 촉구했다.
김 씨는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가 유가족들에게 ‘대통령을 믿어달라’고 한 것과 관련해 “우리가 믿음을 가질 수 있는 것은 어떤 것이 있었느냐”고 반문했다.
김 씨는 “대통령은 '유가족 뜻이 잘 반영되도록 하겠다'고 약속해놓고 그것을 위한 특별법 제정 요구는 계속 거부하고 있다. 정부여당도 억지주장을 하면서 특별법 제정을 계속 반대하고 있다”며 “그런데 어떻게 진상규명을 하겠다는 것이냐. 그렇게 하면서 대통령을 믿어달라는 말이 나오느냐”고 질타했다.
그는 이어 “그러니까 ‘밝힐 수 없는 큰 잘못을 한 게 있는 건가’ 생각이 드는 것”이라며 그런 이유로 “ 박 대통령의 사고 당시 ‘7시간’에 대한 이상한 소문이 퍼지는 것 아니냐”고 지적했다.
김 씨는 더불어 “안전이 없으면 민생도 이뤄질 수 없다. 그 증거가 저이고 유가족”이라면서 세월호 진상규명을 통해 안전한 사회를 만들어야 한다고 촉구했다.
그러면서 “저의 민생과 행복이 우리나라가 안전하지 않기 때문에 다 무너졌다”며 “반드시 안전한 나라를 만들 것이다. 우리 유가족, 여기 오신 모든 분들 뿐만 아니라 우리를 반대하고 공격하는 일베, 어버이연합까지도 다시는 우리 유가족 같은 아픔을 겪지 않게 하려는 것”이라며 끝까지 안전한 사회를 위한 특별법 제정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대학생·교수·교사들의 발언도 이어졌다. 노동자연대 대학생그룹 소속 양효영 씨는 “정부는 이제 세월호가 아니라 민생을 살려야 한다고 하면서 세월호 피로감을 들먹이고 있다”며 “이들이 얘기했던 민생이 담뱃값을 올리고 주민세 올리고 가난한 서민들 주머니 터는 것이냐”고 성토했다.
양 씨는 “세월호 진상규명이라는 정의가 이뤄지지 않는다면 청와대와 우리 사이에 그 어떤 평화도 없을 것”이라면서 “기소권과 수사권을 포함한 특별법 제정 위해 우리 대학생들도 유가족과 끝까지 함께 하겠다”고 밝혔다.
서울지역대학 민주동문회 협의회 이호윤 상임대표는 “사회의 대표적 지성과 양심 세력인 교수·학생들이 나서야 국민들이 나설 수 있고 국민들이 나서야 세월호 특별법 제정될 수 있다는 일념으로 대행진을 시작했다”며 “아직까지 갈 길이 요원하다. 그러나 국민과 함께 긴 호흡을 갖고 장기전으로 충실히 준비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앞서 한국대학생연합은 오후 4시부터 세월호 특별법 제정을 촉구하며 대학로 마로니에 공원에서 종각역까지 행진한 후 촛불문화제에 합류했다. 반면 자유대학생연합 등 보수단체 회원 300여명은 이날 광화문 동아일보 사옥 앞에서 특별법 제정을 반대하는 집회를 열고 ‘폭식 퍼포먼스’를 벌여 눈살을 찌푸리게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