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세훈 무죄 판결.. NYT “朴, 정치적 책임 덜어준 것”

외신, 원세훈 판결 비중 있게 보도.. WSJ “민주주의에 안 좋은 상황”

이미지출처=트위터
이미지출처=트위터
미국 일간지인 뉴욕타임스(이하 NYT)가 원세훈 전 국가정보원장의 공직선거법 무죄 판결에 대해 “박근혜 대통령의 정치적 책임을 덜어 준 일”이라고 지적했다.

NYT는 11일 ‘전직 한국 국가정보원장, 국정원법 위반 유죄 선고'라는 제목으로 원 전 원장의 1심 판결 결과를 비중있게 보도했다.

신문은 “지난 대선 당시 국정원 직원들에게 불법 정치개입과 선거운동 등을 지시한 혐의로 기소된 원세훈 전 국정원장이 11일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에 대해서는 무죄를 받았지만 국정원법을 위반한 혐의는 유죄로 인정됐다”며 “이는 박근혜 대통령의 정치적 책임을 덜어준 것”이라고 전했다.

신문은 “만약에 법원이 원 전 원장의 선거법 위반 혐의에 대해 유죄 판결을 내렸다면 박근혜 대통령 당선의 합법성에는 흠집이 생겼을 것”이라며 이번 판결이 정치적으로 편향된 결과임을 암시했다.

원 전 원장의 국정원법 위반 혐의에 대해서는 “민주주의의 근간을 흔드는 심각한 범죄”라는 사법부 관계자의 말을 인용해 지적했다. 신문은 “(국정원이) 특정한 여론을 형성하려는 목적으로 국민 여론에 관여하는 일은 어떤 이유로도 용인될 수 없는 일”이라고 강조했다.

NYT가 국정원을 조명한 건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NYT는 지난해 10월 22일 “한국의 대선 스캔들이 점점 커지고 있다”며 국정원과 군 사이버사령부의 대선 개입 파문을 상세히 보도했다.

이미지출처=뉴욕타임스 홈페이지 화면 캡쳐
이미지출처=뉴욕타임스 홈페이지 화면 캡쳐
당시 신문은 “한국 검찰이 지난 6월 국정원 직원들이 인터넷과 SNS를 통해 야당 후보를 비방한 것과 관련해 원세훈 전 국정원장, 김용판 전 서울경찰청장을 각각 기소한데 이어 군 사이버 부대의 선거개입까지 드러나 정가가 마비되고 있다”고 전했다.

NYT는 또한 “과거 한국의 국정원은 북한을 감시하기 위해 설립됐으나, 대통령을 위한 정치적 도구로 전락됐다”고 꼬집었다. 그 일례로 지난 5일 법원이 북한 보위사령부 직파간첩 사건으로 기소된 홍모씨에게 무죄를 선고한 것을 거론하며 한국 국정원의 신뢰 추락을 꼬집었다.

또 다른 미국 일간지인 월스트리트 저널(WSJ)도 최근 기고문을 통해 “원 전 원장의 무죄 선고로 한국 진보 진영은 분통을 터트릴 것이고, 국회는 또 다시 마비가 될 것이다. 민주주의에 좋을 리 없는 상황이다”라고 분석한 바 있다.

한편, 원 전 원장의 사건을 심리한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1부는 11일 원 전 원장에 대해 국정원법 위반 혐의는 유죄,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는 무죄로 판단했다. 원 전 원장은 징역 2년 6개월에 집행유예 4년, 자격정지 3년을 선고 받았다.

다음은 뉴스프로가 번역한 뉴욕타임스 기사 전문
번역 감수:임옥
기사 바로가기(☞ http://nyti.ms/1tNtVMK

Former South Korean Spy Chief Convicted in Online Campaign Against Liberals
전직 한국 국정원장, 진보파 비방 온라인 캠페인에 유죄

A former South Korean intelligence chief accused of directing agents who posted online criticisms of liberal candidates during the 2012 presidential election campaign was convicted Thursday of violating a law that banned the spy agency from involvement in domestic politics.

2012년 대선 선거운동 기간 동안 요원들로 하여금 진보측 후보에 대한 온라인 상의 비방글을 게시하도록 지시한 혐의를 받고 있는 전 국정원장이 목요일 국정원의 국내정치를 금하는 법을 어긴 것에 대해 유죄를 선고 받았다.

Won Sei-hoon, who served as director of the National Intelligence Service under President Park Geun-hye’s predecessor, Lee Myung-bak, was sentenced to two and a half years in prison, but the Seoul Central District Court suspended the sentence. Mr. Won had just been released from prison Tuesday after completing a 14-month sentence stemming from a separate corruption trial.

박근혜 대통령의 전임자인 이명박 아래에서 국정원장을 지냈던 원세훈은 2년 반의 징역형을 선고 받았으나 서울중앙지법은 그 형의 집행을 유예시켰다. 원 씨는 비리에 관한 별도의 재판에서 받은 14개월의 형량을 마치고 화요일 출소했다.

Prosecutors indicted Mr. Won in June of last year, saying that a secret team of National Intelligence Service agents had posted more than 1.2 million messages on Twitter and other forums in a bid to sway public opinion in favor of the conservative governing party and its leader, Ms. Park, ahead of the presidential and parliamentary elections in 2012.

검찰은 지난해 6월, 국정원 기밀팀 요원들이 2012년 대선과 총선에 앞서 트위터와 다른 토론 사이트들에 120만 개 이상의 메시지를 게시해서 집권당과 그 당의 대표인 박 대통령에 유리하도록 여론을 움직이려 했다고 말하며 원 씨를 기소했다.

Many of the messages merely lauded government policies, but many others ridiculed liberal critics of the government and of Ms. Park, including Ms. Park’s rivals in the presidential election. Some messages called the liberal politicians “servants” of North Korea for holding views on the North that conservatives considered too conciliatory, prosecutors said.

메시지들 다수는 정부 정책들을 단순히 칭송했지만 다른 많은 메시지들은 대선에서의 박근혜 대통령의 경쟁 후보들을 포함하여, 정부 및 박근혜 대통령에 대한 진보적인 비평자들을 조롱하는 것들이었다. 일부 메시지들은 보수주의자들이 생각하기에 너무나 회유적으로 보이는 견해를 북한에 대해 가지고 있다는 이유로 진보적 정치인들을 “종북”이라고 부르기도 했다고 검찰 측은 말했다.

For the spy agency to “directly interfere with the free expression of ideas by the people with the aim of creating a certain public opinion cannot be tolerated under any pretext,” the court said in its ruling on Thursday. “This is a serious crime that shakes the foundation of democracy.”

국정원이 “특정한 여론을 형성하려는 목적으로 국민들이 자유롭게 생각을 표현하는 것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것은 어떤 이유로도 용인될 수 없다”고 목요일 재판부는 판결에서 밝혔다. “이것은 민주주의의 근간을 흔드는 심각한 범죄이다.”

But though Mr. Won was convicted of violating the law governing the spy agency, the court dismissed a separate charge: that he had violated the country’s election law, which prohibits public servants generally from interfering in elections. In explaining that decision, the court said Mr. Won had not ordered his agents to support or oppose any specific presidential candidate.

그러나 비록 원 씨가 국가정보원법을 어긴 것에 대해 유죄 선고를 받았으나, 법원은 그가 공직자의 선거 참여를 전체적으로 제한하는 선거법을 어겼다는 별도의 공소 사실은 기각했다. 그러한 결정을 설명하면서, 재판부는 원 씨가 부하직원들에게 어떤 특정 대통령 후보를 지지하거나 반대하라고 지시하지는 않았다고 밝혔다.

That finding spared Ms. Park a potentially serious political liability. Had Mr. Won been convicted of violating the election law, it would have provided fodder for critics of Ms. Park who say that the agency’s online smear campaign undermined the legitimacy of her election. Ms. Park, who was elected by a margin of about a million votes, has said that she neither ordered nor benefited from such a campaign.

그 판결은 박 대통령에 대해 심각할 수도 있는 정치적 책임의 부담을 덜어줬다. 만약 원 씨가 선거법 위반 선고를 받았다면, 온라인상의 비방 캠페인이 박 대통령 당선의 합법성을 손상시켰다고 말하며 박 대통령을 비판하는 이들에게 말할 근거를 제공해주었을 것이다. 약 백만 표 차이로 당선된 박 대통령은 자신은 그러한 캠페인을 지시하지도, 그것으로부터 이익을 받지도 않았다고 말했다.

Two other former senior officials of the spy agency who had been indicted on similar charges were each sentenced to a year in prison on Thursday, but their sentences were also suspended. Both the prosecutors and the defendants have a week to appeal the verdicts.

비슷한 혐의로 기소된 다른 두 전직 국정원 고위관계자들은 목요일 각각 1년 징역형을 선고 받았으나 역시 그 형도 집행유예됐다. 검사와 피고 모두 판결에 항소할 수 있는 일주일의 기간이 있다.

The intelligence service has denied trying to discredit opposition politicians, saying that its online messages were posted as part of a normal campaign of psychological warfare against North Korea. It said the North was increasingly using the Internet to spread misinformation in support of the Pyongyang government and to criticize South Korean policies, forcing its agents to defend those policies online.

국정원은 야당 정치인들에 대한 신뢰를 떨어뜨리기 위한 시도를 했음을 부정하며, 이 온라인 메시지들은 북한에 대응하는 정상적인 심리전의 일환으로 게시된 것이라고 말했다. 북한이 평양 정부를 지지하는 잘못된 정보와 남한 정책에 대한 비판을 인터넷을 통해 점점 더 많이 확산시키고 있어서 요원들이 이러한 정책들에 대해 인터넷 상으로 방어를 해야만 했다고 국정원은 말했다.

The intelligence agency was created to spy on North Korea, which is still technically at war with the South. But over its history, it has been repeatedly accused of meddling in domestic politics and of being used as a political tool by sitting presidents. In recent months, courts have acquitted two defectors from North Korea who had been indicted on charges of spying for Pyongyang; the courts said the intelligence service had kept them in solitary confinement for several months, failed to provide the suspects with appropriate access to lawyers and, in one case, even fabricated evidence to build its cases.

정보기관은 엄밀한 의미로 여전히 남한과 전쟁 상태에 있는 북한을 감시하기 위해 설립됐다. 그러나 과거 역사를 보면 이 기관은 국내정치에 개입하고 현직 대통령에 의한 정치적 도구로 사용되었다는 비난을 계속해서 받아왔다. 최근 몇 달 동안 법원은 북한을 위해 간첩활동을 벌인 혐의를 받고 있는 두 명의 탈북자에게 무죄를 선고했다; 법원은 국정원이 몇 달동안 그들을 독방에 감금하고 타당한 변호사와의 접견을 허용하지 않았으며, 사건을 만들기 위하여 심지어 증거를 조작한 적도 있다고 말했다.

The South Korean military’s Cyberwarfare Command was also accused of smearing opposition politicians online before the 2012 elections. Last month, military investigators formally asked prosecutors to consider legal action against the former heads of the command, which was created in 2010 to guard against hacking threats from the North.

한국 군의 사이버사령부 또한 2012년 대선에 앞서 온라인으로 야당 정치인들에 대한 비방작전을 벌인 혐의를 받고 있다. 지난 달 군 조사관들은 검찰에 2010년에 북한으로부터의 해킹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창설된 사이버사령부의 전 사령관들에 대해 법적 조치를 고려할 것을 요청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고발뉴스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