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단체 “사고기록‧화학물질 취급정보 공개해야”
삼성전자가 3년 전에도 불산 사고를 관계당국에 신고하지 않고 자체 처리 한 것으로 알려져 논란이 커지고 있다.
이에 시민단체들은 삼성측에 사고기록 공개 등을 요구하고 있다. 이들은 또, 더 이상의 사고를 막기 위해서는 삼성이 어떤 위험물질을 사용하고 있는지에 대해서도 명확히 밝혀야 한다면서 자료공개를 촉구하고 있다.
이종란 반올림 상임활동가는 5일 ‘go발뉴스’에 “2010년에도 그렇고, 2000년 대 초반에도 불산 사고가 발생했다는 노동자들의 제보가 있어왔다”면서 “사망하지 않았을 뿐 이런 일이 비일비재하게 있어왔는데 ‘은폐의 삼성‘이 사고들을 숨겨왔다. 이번 일을 계기로 사고기록 등을 다 공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건강한노동세상 장안석 사무국장은 ‘go발뉴스’와의 통화에서 “이 전에도 유해물질에 노출된 노동자들이 직업병에 걸렸다고 문제를 제기해 왔다”면서 “그러나 삼성은 누출된 적이 없다. 누출됐다 하더라도 경미한 누출이었다. 즉각적인 대처를 했기 때문에 작업자들에게 노출은 없었다고 주장을 했다”며 “그게 이번에 다 거짓말이었다는 것이 드러나게 된 것”이라고 일갈했다.
장 사무국장은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방안으로 삼성이 유해물질 취급정보를 주민과 노동자들에게 공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사고가 나기 전에 예방을 하려면 현재 어떤 화학물질을 어떻게 사용하고 있는지 주민들이나 노동자들에게 정보를 공개해야 한다”면서 “경미한 누출이 발생하더라도 위험물질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감시가 이루어져야 한다”며 “삼성은 감시가 가능한 알권리를 보장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이에 삼성측은 “당시 다친 사람이 삼성 직원이 아니라, 하청업체 직원이고, 불산이 유출된 장소도 라인 내 통제된 공간으로 외부 유출이 안 되는 곳이라고 판단해 문제가 없을 것 같아 신고하지 않고 자체 처리 했다”고 해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경향>에 따르면, 2010년 9월13일 삼성전자 화성사업장에서 하청업체 직원 황모씨(당시 37세)가 배관 공사를 하다 밸브를 잘못 건드려 불산이 누출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 사고로 황씨는 얼굴과 목 등 전신의 15%가 화상을 입어 17일간 입원 치료했다.
한편, 삼성반도체 화성공장 불산 누출 사고로 숨진 협력업체 직원 박모(35)씨에 대한 부검 결과, 기도에서 수포(1cm이상 물집)가 발견된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은 다량의 불산이 기화되면서 불화수소가 박씨의 방독면을 뚫고 호흡기로 들어간 것으로 보고 수사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관련, 시민환경연구소 김정수 부소장은 5일 'go발뉴스'에 “경미하든 그렇지 않든 농도와 상관없이 어떤 상태인지 모르는 상태에서 방독면만으로는 불산에 노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없다”면서 “주변 공기를 마셔서는 안 되기 때문에 밀폐된 산소마스크를 사용해야 하고, 산소통의 산소로 호흡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