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복잡한 유통구조 단순화 시켜야”
국내 5대 농·축산 품목의 연간 총 소비액 중 약 36%가 유통업자의 마진인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 전문가는 “유통구조가 매우 복잡한 것이 문제”라며 “유통구조의 단순화가 대안”이라고 지적했다.
<한국일보>는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29일 발표한 ‘농업전망 2013’에서 2011년 국내 총 소비액 34조6,100억원 가운데 35.8%(12조4,100억원)가 쌀과 소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계란 등 5대 농·축산 품목의 유통비용으로 조사됐다고 30일 보도했다.
농촌경제연구원의 ‘농업전망 2013’에 따르면 5대 품목의 전체 소비액 중 소고기는 42.2%, 돼지고기는 38.9%, 닭고기는 52.1%, 계란은 32.3%, 쌀은 21.3%가 각각 유통비용으로 들어갔다.
농촌경제연구원이 1990년부터 2010년까지 월별 가격자료를 이용해 도매시장 가격와 유통마진관계를 분석한 결과, 쇠고기와 돼지고기는 도매가격이 1%하락할 때 유통마진이 각각 0.56%, 0.38% 증가했다.
같은 기간, 닭고기 산지가격은 연평균 0.5%씩 하락한 반면 소비자가격은 1.6%씩 증가해 닭고기 유통마진은 연평균 4.7%씩 확대됐다. 계란의 경우도 2000년대 들어 산지가격 상승률은 1.8%인데 비해 소비자 가격 상승률은 3.7%로 높았고 유통마진은 연간 9.6%씩 올랐다.
이에 관련, 건국대학교 축산경영·유통경제학과 김민경 교수는 ‘go발뉴스’에 “결국 유통구조가 매우 복잡해 문제다”며 “물건을 구입하는 소비자는 (제품의) 유통경로가 산지-도축장-정육점 순으로 이해하고 있지만 사실 그렇지 않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소비자가 구매할 수 있는 소매단계까지 오기 위해 여러 단계의 중간 도매를 거친다”며 “그 과정에서 돈 관계가 얽히다 보니 유통비용이 높아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어 “유통업체 입장에서는 산지가격이 낮아져도 전체적인 수입 구조상 소비자가격을 쉽게 떨어트리지 못한다”며 “손실을 보충하는 경우도 있기에 소비자 가격을 낮추기가 어려운 상황이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소비자에게는 단순한 제품을 구매지만 그 안에는 순수 가격 외 전기료, 인건비 등 모든 게 포함되어 있다”며 “유통구조를 단순화 시키는 게 대안 방안이다”고 말했다.
농촌경제연구원은 이날 경제 전망 발표에서 “전문가들은 쇠고기와 돼지고기의 경우 ‘계열화 확대’와 ‘산지 조직화’가 가격 변동성을 완화시키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며 “협동조합형 계열화 확대가 유통비용을 절감시킬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분산된 도축, 가공, 배송 기능을 통합시킨 일관경영체계를 구축해야 할 것”이라며 “양계산물의 경우엔 유통단계 축소와 통합으로 유통단계별 가격의 연동성을 높여야 한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