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심한우의 진실’ 농협, 철저히 소비자 속여

<추적60분>보도 파문…“허가받은 사기꾼들” 비난쇄도

100% 안전을 보장한다는 농협의 ‘안심’한우가 안심할 수 없는 쇠고기인 사실이 드러나 소비자들이 분노하고 있다. 거짓 식별번호를 단 출처 불명의 쇠고기, 유통기한이 지난 쇠고기, 심지어 수입산 쇠고기까지 한우로 둔갑해 판매됐다는 사실이 28일 KBS <추적60분>의 탐사보도로 밝혀졌다.

KBS <추적60분> 취재팀은 농협 안심한우에 붙어있는 식별번호를 조회해 해당 안심한우 생산농장 30여 곳을 찾아갔다. 그러나 농장주들은 뜻밖에도 농협에게 소를 판 적이 없다고 말했다. ‘안심한우’의 존재조차 모르는 한우농장이 거의 대부분이었다.

경기도의 한 안심한우전문점에서 구입한 쇠고기는 무려 2년 전에 도축된 쇠고기의 식별번호가 붙어 있었다. 더욱 이상한 건 이곳에서 팔리는 모든 고기들은 전부 같은 식별번호가 붙어있다는 점이다. 또 다른 전문점에서는 5개의 식별번호만을 반복해서 붙이고 있었다. <추적60분>팀의 조사 결과, 아예 유통기한을 표시하지 않은 곳조차 있었다. 제작진은 취재 중, 한 안심한우 협력업체에서 수입산을 팔다가 폐점한 가맹점에 대한 이야기도 들을 수 있었다. 

농협 안심 쇠고기 홍보문 ⓒ KBS<추적60분>화면캡쳐
농협 안심 쇠고기 홍보문 ⓒ KBS<추적60분>화면캡쳐

하지만 농협은 안심한우를 생산부터 유통까지 100% 책임관리 한다며 소비자가 안심해도 된다고 홍보하고 있다. 그 결과, 농협 안심한우는 출범 3년 만에 시장점유율 10%를 차지하고 있고, 농협 안심한우를 재구입 의사를 밝힌 소비자는 81%나 된다. 2011년 6월부터 시작된 농협의 안심한우전문점은 현재 전국 180여 곳을 운영 중이다. 

구멍난 농협의 유통 시스템뿐만 아니라, 광우병 사태 이후 정부가 마련한 개체식별번호를 이용한 쇠고기 이력제의 허점도 드러났다. <추적60분>에 따르면 재래시장과 농협, 대형마트에서 판매되는 일부 쇠고기들엔 식별번호를 찾을 수 없었다. 출생 당시만 번호관리가 될 뿐, 유통되는 고기는 판매자의 양심에 맡기는 수밖에 없다는 이력제의 빈틈이 그대로 나타났다. 농협 직원들조차 처음부터 실현 불가능한 제도였다고 말했다.

이에 농림부 관계자는 29일 ‘go발뉴스’와의 통화에서 “쇠고기 이력제는 이마트 등 대형마트는 이미 잘 되고 있다”면서 “영세한 동네 정육점 5만 개 등은 새로 생기고 없어지고 하는데 경찰이 전체 도둑놈을 다 못 잡는 것처럼 다 관리 감독할 수 없는 게 현실”이라고 말했다. “농협은 거대 기업 아니냐”는 기자의 반문에 대해선 “농협이 체인점을 계약해서 내 준 것이고 전체가 아니라 일부가 이력번호 표시를 잘못 한 것”이라며 일부 문제로 치부했다.

한편, 지난 10월 국정감사에서는 안심한우 원산지 표기가 문제가 된 검찰수사에 대한 질의가 있었다. 농협은 안심한우전문점에선 ‘안심한우’만을 판매한다고 말했다. 농림부도 사업진행을 제대로 확인하지 못한 점을 인정했다.

소비자들은 농협의 거짓말에 분노했다. “저쯤되면 그동안 비싼 돈내고 안심한우 사먹어 온 국민들이 농협을 사기죄로 고소하고 동시에 손해배상 청구소송 진행해야 하는 것 아닌가요?”(jyi*****) “한마디로 한우를 체계적으로 관리 운영한다는 농협. 축산인을 우롱했고 국민을 속인 집단체다”(happy******), “저게 기업이 아니라 허가받은 사기꾼들이구만요!!”(ekans***) 등의 의견이 SNS와 인터넷에 쏟아졌다. 

저작권자 © 고발뉴스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