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지원 “포기 수순?”.. 문창극 낙마 가능성 제기
문창극 총리 후보자의 임명동의안과 인사청문요청서의 박근혜 대통령의 재가 여부와 관련, 귀국 이후에 검토하겠다는 방침이 전해진 가운데, 그 배경을 두고 여러가지 추측이 나오고 있다. 일각에서는 청와대의 ‘자진 사퇴’ 압박이 아니냐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18일 민경욱 청와대 대변인은 중앙아시아를 순방 중인 박근혜 대통령이 오는 21일 귀국 이후에 재가 여부를 검토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민 대변인은 “지금 순방 중에는 경제적으로 외교적으로 중요한 발표할 것이 많다”며 “순방 중에는 중요한 외교적·경제적 이슈에 집중하고 총리 임명동의안과 장관 인사청문요청서는 귀국해서 여러 상황을 충분히 검토한 뒤 재가를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당초 박 대통령은 16일 순방출국 때 임명동의안을 재가한다고 했다가 다음 날인 17일로 하루 미뤘고, 17일에도 바쁜 일정을 이유로 연기했다. 그러더니 주말인 21일까지 재가 여부를 늦춰 박 대통령이 문 후보자의 임명동의안 재가 시 불어올 정치적 파장에 대해 숙고의 시간을 갖겠다는 뜻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또한 친박계 좌장 서청원 새누리당 의원과 김무성 의원 등도 ‘문창극 사퇴론’을 제기하며 박 대통령에게 적잖은 영향을 끼친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이에 대해 박지원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은 “대통령께서 문창극 후보자가 스스로 사퇴해주도록 포기수순을 밟고 있지 않나”라며 문창극 낙마 가능성을 제기했다.
박 의원은 KBS 라디오 ‘안녕하십니까 홍지명입니다’에 “지금 문창극 후보자의 이런 식민사관 소유자를 어떻게 총리로 받아들일 수 있느냐 하는 국민청문회는 이미 끝났다”며 “저는 오늘 중으로 사퇴를 하지 않을까 조심스레 예단해 본다”고 말했다.
시민단체는 박 대통령의 빠른 결단을 촉구했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은 이날 논평을 통해 “지난 정당해산청구서의 경우 해외순방 중 전자결재까지 했던 박 대통령이 총리 임명동의안을 외국방문 중이라 결재하지 못한다는 것은 어불성설”이라며 “이는 시간끌기를 통해 여론의 추이를 지켜보면서 월드컵 등 외부적 변수에 의한 국면전환을 꾀하려는 국민 기만행위에 지나지 않는다”고 꼬집었다.
경실련은 “문 후보자에 대한 국민들의 검증과 결정은 이미 끝났다”며 “박 대통령이 진정으로 국정공백에 따른 혼란을 우려한다면 더 큰 국정난맥을 불러오지 않도록 문 후보자의 즉각적인 지명 철회를 통해 조속히 사태를 수습하라”고 촉구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