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는 분향소 ‘VIP 조화’ 관리 지침.. 네티즌 “최소한 인간애도 없어”
정홍원 국무총리가 세월호 침몰사고 1주일 뒤인 23일 희생자 장례비를 나중에 보상금에서 삭감한다 내용의 지침을 관련 부처에 내린 사실이 밝혀져 논란이 예상된다.
<경향신문>에 따르면 1일 새정치민주연합 도종환 의원이 교육부에서 받은 ‘여객선 세월호 침몰사고 상황보고서’에는 희생자 장례비를 무제한 지원할 수 없다는 총리 지시 사항이 적혀 있다. 이 보고서는 사고가 발생한 지난달 16일부터 교육부가 매일 주요 현황과 조치 사항을 일지 형식으로 기록한 것이다.
이중 ‘4월23일 총리님 말씀’ 대목에는 “장례비 지원과 관련하여 학생과 일반인 간 형평성이 필요하며, 무제한 지원(장례기간과 관련)이 아닌 정부 지원 기준을 정해 보상금 산정 시 개인별 정산할 것이라는 원칙이 유가족에게 전달되어야 할 것”이라고 기록돼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런 정부 방침은 앞서 언론에 보도돼 논란이 일었으나, 정 총리가 직접 지시했다는 사실은 이번 상황보고서를 통해 처음으로 확인됐다.
더욱이 당시는 시신 수습이 시작된 후 사망자가 실종자보다 많아지며 유족들의 분노와 충격이 극에 달하던 때였다.
정부의 부적절한 지시는 이뿐만이 아니었다. 상황보고서에는 4월 27일자로 ‘임시분향소 VIP 조화 관리상태 지속적으로 확인’이라고 적혀 있었다. 정부가 이 와중에 대통령의 조화 관리에까지 신경을 쓴 것이다.
도 의원은 “교육부가 사고 이후 학부모와 교사·학생들의 아픔을 치유하는 것보다 대통령 조화 관리에 더 신경을 썼다는 얘기”라 지적하며 “상황보고서 어디에도 아이들 구조에 최선을 다하라는 지시는 단 한 줄도 없다. 이러고도 정부가 최선을 다했다고 할 수 있느냐”고 말했다.
정 총리의 발언을 접한 파워트위터리안 레인메이커는(@mettayoon) “장례 비용을 보상금에서 차감한다는 사실을 유가족들에게 알리라는 총리, 박근혜의 조화를 잘 관리하라는 교육부, 그러나 구조에 만전을 기하라는 당부의 말은 어디에도 없었다. 이들에게 국민은 없다”고 꼬집었다.
전 의문사진상규명위원회 고상만 조사관은(@rights11) “‘알뜰한’ 정홍원 총리, 세월호 사망자 장례비 보상금에서 삭감 방침이란다. “어서 빨리 장례치뤄라.” 유족의 마음을 두 번, 세 번 찢고 또 찢는 이런 공직자들”이라며 분노했다.
네티즌들도 “돈 때문에 구조 못하고 죽은 자 앞에 갖추어야 할 예의가 고작 보상금문제며 거기서 장례비 빼겠단 말을 하려고 아직도 총리 허수아빌 앉혀 놨다”(@bob****), “장례비를 보상비에서 차감, 대통령 조화를 지켜라 무사 구조하라는 말 한마디 없다. 이게 이 사고를 대하는 정부와 관료들의 자세이다. 대통령에게 잘 보이는 방법”(@kan****), “사고의 원인부터, 구조과정, 수습, 그리고 총리의 장례비 발언까지...이 사고는 처음부터 끝까지 돈이 사람보다 먼저라는 사고방식의 결과다. 최소한의 위선적인 체면치레조차 없는 천박함에 신물이 난다”(@bul****), “박근혜 측근들은 최소한의 인간애도 없다”(@sin****)라고 비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