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 회의 전날 뒤늦게 편성.. 노조 “관영방송으로 전락”
KBS가 20일 열리는 청와대 민관합동 규제개혁 회의를 생중계하기로 결정해 논란이 일고 있는 가운데 MBC도 뒤늦게 해당 회의를 생중계하기도 해 두 공영방송에 모두 ‘관영방송 전락’이라는 비판이 쏟아지고 있다.
<미디어오늘>에 따르면 KBS는 청와대 회의 하루 전인 19일 오전 규제개혁 회의 생중계를 결정했다. 하지만 토론도 아닌 청와대 회의를 KBS가 생중계 하는 것이 유례가 없었고, 방송시간을 무려 2시간이나 편성해 논란이 일고 있다. 더욱이 KBS는 이를 KTV의 촬영을 받아 생중계하기로 했다.
이에 전국언론노조 KBS 본부는 19일 성명을 통해 “회의 제목과 시간만 전달받은 중계팀은 내용과 형식을 파악하느라 멘붕에 빠졌다”며 “KBS가 공영방송의 지위와 역할을 포기한 채 국영 또는 관영으로 전락한 상징적인 사건”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뉴스에 기사 한두 건으로 처리하면 될 일을 2시간 넘게 중계까지 해가며 호들갑 떠는 배경은 길환영 사장의 박근혜 대통령에 대한 맹목적 충성심 때문일 것”이라며 “박근혜 대통령이 여러 차례 규제개혁을 언급했고 회의까지 주재한다고 하니까 잘 보이기 위한 ‘방송 쇼’에 다름 아니고 임창건 보도본부장은 이를 충실히 따르는 모양새”라고 지적했다.
여기에 MBC도 뒤늦게 청와대 규제개혁 회의를 생중계하기로 결정했다. MBC는 KBS의 생중계가 결정 된 후 19일 오후 사내 공지를 통해 이와 같은 사실을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MBC 내에서도 모르는 사람을 만큼 갑작스럽게 결정된 것으로 보인다.
이후 MBC는 저녁 8시 <뉴스데스크>에서 ‘朴대통령 규제 혁파 토론 끝을 본다…TV·인터넷 생중계’보도에서 “내일 토론은 4시간정도로 예정돼 있다. 하지만 해결방안을 찾을 때까지 시간제한 없는 끝장 토론이 될 수도 있다. 이번 토론은 TV와 인터넷을 통해 생중계된다”고 전했다.
‘규제개혁’은 최근 박근혜 대통령을 비롯한 청와대·정부에서 대대적으로 밀어붙이며 강조하고 있는 정책이지만 이를 두고 정치권의 치열한 공방이 오가는 상황에서 공영방송이 관련 토론회도 아닌 청와대 회의까지 생중계한다고 나선 것은 매우 이례적이라는 지적이다.
논란이 커지자 KBS 측은 규제개혁회의가 장관급 뿐 아니라 민간에서도 참여하기 때문에 사실상 토론회 형태로 전환된 것이라며 따라서 긴급편성을 준비하고 있다고 해명했다.
KBS 안현기 홍보팀장은 <미디어오늘>에 “원래 계획된 회의는 장관회의라 이를 준비하지 않았는데 연기되면서 민간 기업인도 참석하는 민관합동회의가 됐다”며 “현장의 목소리를 듣는 의미를 갖췄다고 보도본부에서 판단한 것”이라고 말했다.
또 MBC 최장원 정책홍보부장은 “민간인들까지 참여하게 돼 현장의 목소리를 많이 듣는다는 데 중계의 가치가 있다고 판단해 생중계하기로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