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병헌 “국정원 시스템 가동 특검 불가피”
국가정보원의 대선 개입 의혹을 수사 중인 검찰이 국정원 전 심리전단 직원들이 작성한 정치개입 관련 트위터 글 122만여건을 추가로 확인해 공소장 변경을 신청했다.
20일 서울중앙지검 특별수사팀(팀장 이정회)은 이같은 내용이 담긴 공소장 변경 신청서를 재판부에 제출했다.
특별수사팀이 확인한 트위터 글 122만여건 가운데 지난해 대선 관련 글은 50만여건, 과거 총선 등 다른 선거 관련 글은 70만여건에 이르는 것으로 파악됐다.
검찰은 최근 트위터 글을 올린 것으로 의심되는 심리전단 직원 10여명을 조사하는 과정에서 이제까지 드러난 5만여건 이외에 122만여건에 달하는 트위터 글을 확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경향신문>은 국가정보원 심리전단 직원들이 122만여건의 선거개입 관련 트위터 글을 퍼 나를 수 있었던 것은 ‘봇 프로그램(bot program)’이 있어 가능했다고 전했다.
‘봇 프로그램(bot program)’은 자동으로 수십개의 트위터 계정(일명 ‘유령계정’)을 만들어 댓글을 동시간대에 수십개에서 수백개씩 퍼나르는 프로그램이다.
정보기술(IT)전문가들은 “누군가의 지시를 받지 않고서는 일반인들의 계정이 이 같은 일을 함께 벌였다고 보기 힘들다”며 기계적인 시스템을 이용해야 일어날 수 있는 일이라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국정원이 수십개의 계정을 만들기 위해 필요한 다른 사람들의 이메일 주소를 도용했거나 ‘악성 봇’을 사용해 ‘좀비PC’를 운영했을 가능성도 제기했다.
<경향>은 또, 이 계정들의 생성시기와 활동 중지 시기는 모두 일치했다며 누군가의 지시를 받고 조직적으로 일사불란하게 활동했다는 방증이라고 분석했다.
한편, 검찰은 이종명 전 국정원 3차장과 민병주 전 심리전단장에 대해서도 공소장 변경을 신청할 계획이다.
이와 관련, 전병헌 민주당 원내대표는 <평화방송> ‘열린세상 오늘 서종빈입니다’에 “참으로 개탄스럽고 경악스럽다”며 “처음 댓글 73개가 나왔을 때 그것이 어떤 영향을 주었을 것이냐에 대한 문제에 일부 동의하는 바가 있었다. 그런데 이 73개가 5만여개로 늘어났고 지금 110만여개로 늘어났다. 이것은 국정원 시스템이 가동된 것”이라고 꼬집었다.
전 원내대표는 “국정원의 공식적인 시스템이 작동됐다는 것은 국정원이 이제까지 국정원장 이야기처럼 일부 직원들의 개인적 일탈로 선거에 개입하고 정치에 개입한 것이 아니라 국정원이 조직적이고 매우 체계적으로 정치게 개입했다는 것을 방증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 문제와 관련해서는 특검을 통해 모든 문제를 밝혀야 한다는 것이 확실하게 입증됐다”며 특검 도입을 촉구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