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NS “공정보도로 시청률부터 높여야”
MBC가 “지상파의 생존 자체가 위협받는 상황”이라며 지상파 방송에서도 중간광고를 허용해 달라는 취지의 건의문을 발표해 빈축을 사고 있다.
7일 오후 MBC 김종국 사장과 18개 지역 계열사 사장들은 ‘방송 경영 정상화를 위한 건의문’을 통해 “특히 지역문화 창달에 이바지한 18개 지역 계열사는 올해만 9월까지 총 157억 원의 적자가 났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들은 “지상파의 광고 매출은 해마다 급격히 떨어지는 반면, 제작비는 급등해 제작 기반 자체가 흔들리고 있다”며 “이대로는 ‘대장금’과 K팝 등 한류를 주도한 고품질 콘텐츠의 생산기지로서 역할을 하기 불가능하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지상파만을 과도하게 옥죄는 차별적 광고규제가 지상파 위기를 불러온 근본 원인”이라며 “‘동일 서비스 동일 규제 원칙’에 따라 중간광고 규제와 같은 불합리한 규제를 케이블TV나 IPTV 등 유료 방송업계와 동등한 수준으로 정상화해 달라”고 호소했다. 사장단은 이같은 내용을 담은 건의문을 방송통신위원회에 전달할 예정이다
한편, MBC의 중간광고 허용 요구에 1인미디어 미디어몽구는 트위터에 “MBC가 ‘지상파도 중간광고 허용해 달라’며 정부에 건의 했나 보다. 마침 방통위는 ‘지상파 중간광고 허용 등을 포함해 획기적인 제도 개선을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시청자들의 중간광고 거부감을 물로 보나? 정말 해도 해도 너무하다”고 쓴소리를 날렸다.
다른 트위터리언들도 “공정보도로 시청률을 높여야지, 막장을 헤매면서 광고만 내보낸다고 수익이 올라가냐?”@(poto******), “MBC, 뭘 한 게 있다고 중간광고... MBC 경영진 아직도 정신 못 차리네”(@medi******), “그렇게 중간광고 하고 싶음 종편으로 가”(@qkd******), “방송부터 정상화하고 이 딴 소리해라!! 그게 뉴스냐??”(@natu********), “공중파까지 중간광고를 하면 종편이나 IPTV와 차별성은? 경영을 제대로 했는데 적자라면 이해는 가지만 그런 것이 아니란 것쯤은 다 아는 사실” (@yang********)이라는 등의 비난을 쏟아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