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직기자가 본 MBC…영향력 0.7%, 신뢰도 0.5% ‘굴욕’

방송기자 중 ‘MBC 신뢰한다’ 응답자 ‘0’

현직 기자 304명이 참여한 설문조사에서 MBC가 영향력과 신뢰도 두 가지 측면에서 모두 0%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방송기자 가운데 MBC를 가장 신뢰한다는 응답자는 한명도 없었다.

한국기자협회는 창립 49주년을 맞아 한길리서치에 의뢰해 7~9일 기자협회 회원사 소속 현직기자 304명을 대상으로 미디어계 각종 현안에 대한 전화면접 여론조사를 실시했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5.6%포인트)

14일 기자협회가 공개한 결과에 따르면, 현직 기자들이 꼽은 가장 영향력 있는 언론사는 KBS였으며 가장 신뢰하는 언론사는 한겨레였다.

KBS는 2011년 기자협회 창립 47주년 조사에서 31.6%로 영향력 1위에 오른 이후 2회 연속 1위를 지켰다. 한겨레 역시 기자협회가 기자 대상 신뢰도 조사를 실시한 2006~2007년, 2009~2011년에도 1위를 차지한 바 있으며 이번을 포함, 모두 6회 조사에서 1위에 올랐다.

반면, KBS와 함께 국내 양대 공영방송으로 꼽히는 MBC는 영향력 0.7%, 신뢰도 0.5%를 기록하는 ‘굴욕’을 당했다. 앞선 2011년 조사에서 MBC가 영향력 3위(13.8%), 신뢰도 4위(8.3%)를 기록한 것과 비교할 때 불과 2년만에 급격하게 추락한 셈이다.

한길리서치 홍형식 소장은 기자협회보에 “MBC 사태 이후 기자들의 인식이 크게 달라져 MBC가 예전 명성만으로 영향력과 신뢰도를 유지하기 어렵다는 혹독한 지적으로 봐야 한다”고 분석했다.

배재정 민주당 대변인 ©'페이스북'
배재정 민주당 대변인 ©'페이스북'
ⓒ 한국기자협회
ⓒ 한국기자협회

가장 영향력 있는 언론사로 꼽힌 KBS(45.2%)의 뒤를 조선일보(30.6%), YTN(6.3%), 한겨레(2.8%), SBS(2.5%), 경향신문(1.6%)이 이었다. 가장 신뢰하는 언론사는 한겨레(21.9%), 경향신문(14.9%), KBS(13.5%), YTN(6.3%), 조선일보(4.8%), SBS(3.8%), 중앙일보(2.1%), 한국일보(1.2%), 동아일보(1.1%) 순이었다.

한편, 현직 기자들은 새 정부 출범 이후 우리나라의 언론자유 수준이 지난 이명박 정부 때와 비슷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새 정부 출범 이후 우리나라의 언론자유 수준이 지난 이명박 정부 때와 비교해 어느정도 수준이냐’는 질문에 67.4%가 “비슷하다”고 답했다. “더 나빠졌다”는 응답자는 23.7%(매우 나빠졌다 6.9%, 나빠진 편 16.8%)를 기록했다. “나아졌다”는 응답은 8.7%(매우 나아졌다 0.9%, 나아진 편 7.8%)에 그쳤다.

이와 관련 홍 소장은 “비교의 준거가 된 이명박 정부 당시 언론자유 수준은 양호한 편이었다고 보기 어렵다”며 “새 정부 들어서도 ‘비슷하다’는 의견이 많은 것은 기자들이 부정적 평가를 내린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번 조사에서는 또 2011년 12월 개국한 종합편성채널이 국내 미디어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쳤다는 의견이 많았다.

종편에 대한 부정적인 응답은 73.8%(매우 부정적 31.4%, 부정적인 편 42.4%)를 기록했다. 부정적인 의견은 중앙방송사 기자들 사이에서 높아 84.2%가 이같이 대답했다. 긍정적인 평가는 24.7%(매우 긍정적 2.8%, 긍정적인 편 21.9%)에 그쳤다.

저작권자 © 고발뉴스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