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한다’는 18%에 불과…40대 이하 부정평가 높아
국민 다수가 박근혜 정부의 부동산 정책에 대해 잘못하고 있다는 부정적인 판단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한국갤럽>에 따르면, 지난 3~5일까지 전국 만 19세 이상 남녀 913명을 대상으로 현 정부의 부동산 정책에 대해 물은 결과 ‘잘못하고 있다’는 답변은 46%인 반면, ‘잘하고 있다’는 응답은 18%에 그쳤다. 의견 유보는 36%였다.
연령대별로는 특히 30대가 66%로 부정적 의견이 가장 높았고, 20대는 57%, 40대 50% 등 전월세 등 부동산 경기 하락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40대 이하가 높은 편에 속했다.
지지 정당별로는 새누리당 지지자 406명 중 24%가 긍정, 32%가 부정적으로 답했고, 민주당 지지자 165명 중에서는 12%가 긍정, 63%가 부정적으로 평가했다. 지지정당이 없는 무당파 319명에서는 13%만 긍정평가를, 56%는 부정적으로 답했다.
부동산 정책에 부정 평가한 이유에 대해서는 ‘실효성이 없다’는 답변이 18%로 가장 많았고, ‘서민이 아니라 부자에게 유리하다’는 답변이 15%, 전세값 상승이 11%로 뒤를 이었다.
<갤럽>은 현 정부가 세 차례에 걸쳐 내놓은 부동산 정책의 실효성을 체감하지 못하는 국민들이 많았으며 정책 방향과 그 수혜 대상 범위에 대한 공감대도 넓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반면,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이들은 ‘취득세 감면’이 25%로 가장 많았고, ‘부동산 경기 활성화 노력’이 22%, ‘서민 주택 대출 금리 혜택’이 14% 순으로 그 이유를 꼽았다.
박근혜 정부가 부동산 매매를 더 활성화해야 하는지를 묻는 질문에는 절반이 넘는 64%가 ‘그렇다’고 의견을 밝혔고, 20%는 ‘아니다’라고 답했다. 의견 유보는 15%였다.
이번 조사는 휴대전화 RDD 표본 프레임에서 무작위 추출해 전화조사원이 인터뷰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2% 포인트, 응답률은 17%포인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