野 “물대포, 朴이 국정원 사건에 대처하는 방식?”
제68주년 광복절인 15일 서울 도심 곳곳에서는 국가정보원의 대선개입을 규탄하고 박근혜 대통령에 책임을 촉구하는 각계 시민단체들의 집회‧시위가 진행됐다.
특히 이날 서울 집회에서는 최루액에 이어 새정부 들어 첫 물대포가 등장하고 경찰은 시위 참가 시민들을 무더기로 연행하는 등 경찰의 시민에 대한 물리적 진압이 이뤄졌다.
한국진보연대와 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등 시민사회단체가 포함된 8.15대회추진위원회(위원회)는 이날 오전 11시 서울역광장에서 8.15평화통일대회를 개최했다.
이날 대회에는 민주노총을 비롯한 시민단체들과 전병헌 민주당 원내대표, 이정희 통합진보당 대표, 천호선 정의당 대표 등 주최 측 추산 5000여명(경찰 추산 3500여명)이 참석했다.
위원회는 “한반도에는 남북의 대결이나 전쟁이 아닌 화해와 단합, 평화번영이 필요하다”며 “남북 정상이 10.4선언을 통해 합의한대로 관련 당사국이 모여 한반도에서의 종전선언을 추진하고, 영구적인 평화체제를 실현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날 대회를 마친 참가자들은 오후 1시 30분부터 서울역에서 한국은행, 을지로입구를 거쳐 서울광장까지 가두행진을 벌였다. 가두행진을 벌이던 참가자들은 불법 집회라며 막아선 경찰과 충돌했다.
이 과정에서 경찰은 을지로 입구 도로를 점거한 시위대를 향해 새정부 들어 최초로 물대포를 쏘며 강제 해산을 시도했다. 이어 경찰은 참가자 175명을 연행했다.
이 과정에서 일부 참가자는 경찰이 뿌린 최루액에 맞는가 하면 휠체어에 타고 있던 한 여성 장애인 참가자는 차로에 한동안 쓰러져 구급차에 실려 간 것으로 전해졌다.
경찰 관계자는 “자진해산을 수차례 요구했지만 집회 참가자들이 가두 행진을 계속 진행해 물대포를 사용했다”며 “일부 참가자들이 도로를 점거하는 등 불법행위를 저질러 연행했다”고 말했다.
앞서 오전 8시 40분쯤에는 국정원 의 대선개입을 규탄하며 세종문화회관 앞에서 기습 시위를 벌이던 한국대학생연합(한대련)소속 회원 등 120여 명이 집시법 위반 혐의로 경찰에 연행됐다.
이들은 국정원 해체, 박근혜 대통령의 사과 등을 요구하며 오전 6시 30분쯤부터 회관 앞 도로 1차선을 점거하며 농성을 벌였다. 이들은 오후에도 세종로사거리~서소문 양방향 8차선 도로를 기습 점거해 140여명이 연행됐다.
이같은 정부의 물대포 진압에 대해 김한길 민주당 대표는 16일 서울시청 앞 광장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박근혜 정부 들어 처음으로 국민에게 쏘는 물대포가 등장했다”며 “민주주의를 요청하는 함성에 대해 물대포나 최루탄이 (이를)제압 해낸 전례가 없다는 것을 박근혜 정부는 명심하기 바란다”고 말했다.
또 양승조 최고위원은 “어제 광화문 광장과 서울광장을 보면서 5년 전이 떠오른 것은 저 만이 아닐 것”이라며 “촛불에 MB정부는 물대포로 응수했지만 얼마 못가 국민에게 사죄했다”고 말했다.
그는 “촛불 국면에 대한 박근혜 정부의 대응방식이 어쩌면 5년전과 똑같냐”며 “얼마나 많은 국민들의 촛불이 필요한가. 5년전 전철을 밟지 말고 국민과 야당과 대화로 엄중한 정국을 풀어가길 요구한다”고 덧붙였다.
정의당 이지안 부대변인도 논평을 내고 “광복절에 시민들에게 물대포를 쏘는 것이 박근혜정부가 국정원 대선불법개입 사건을 대처하는 방식이라니 적반하장을 넘어 어처구니가 없다”면서 “반성하지 않고 국민과 싸우겠다는 박근혜 정부는 진정으로 이명박 정부의 전철을 밟고 싶은 것인가. 경찰은 즉각 연행자를 석방하고 강경진압에 대해 사과하기 바란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박근혜정부가 물대포까지 동원하며 국정원 불법대선개입의 진실을 요구하는 국민을 짓밟을수록, 국민적 공분은 들불처럼 더욱 들끓어오를 것임을 직시하기 바란다”고 경고했다.
한편, 보수단체들도 광복절을 맞아 도심에서 산발적인 집회를 열었다. 고엽제전우회 등은 15일 오후 동화면세점 앞에서 집회를 열어 국정원 대선 개입 규탄 촛불집회를 강력히 비난하고 “촛불시민들이 서울광장에 모일 때마다 자신들도 거기 가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