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명 휴대폰·IP 변조’ 정체 숨기기 급급한 ‘국정원’

통화 내역·IP 숨기려 ‘치밀한 준비’…네티즌 “대선심리전” 분노

국가정보원 직원들의 불법 대선개입 활동이 차명 휴대전화와 IP 변조 프로그램 등을 통해 치밀하고 은밀하게 진행된 것으로 드러났다.

12일 <한겨레>에 따르면, 경찰의 국정원 사건에 대한 검찰 송치 기록을 보면 경찰이 국정원 사건에 연루됐다고 판단한 인물은 민간인 이모씨(42)와 국정원 직원인 김모씨(29)·이모씨(39)·조철호(가명)씨 등 모두 4명이다. 이 중 민간인 이씨와 직원 김씨·이씨는 경찰 소환조사를 받았으나 조씨는 아예 조사받지 않았다.

<한겨레>에 따르면, 이들은 서로의 통화 내역을 숨기기 위해 다른 사람 명의로 된 전화기를 사용했다. 국정원 직원 김씨는 민간인 이씨의 이종사촌 동생인 신모씨 명의의 휴대전화를 사용했다.

경찰 수사 결과 김씨는 신씨 명의의 휴대전화를 이용해 민간인 이씨에게 문자메시지를 보내는 등 연락을 유지했고, 국정원 직원 이씨는 2011년 4월부터 동생 명의의 휴대전화를 사용하다 국정원 사건이 불거진 뒤인 지난해 12월 26일 해지했다.

지난 10일 국정원 불법 선거개입을 규탄하기 위해 서울광장 촛불대회에 참석한 시민들 ⓒ이동호
지난 10일 국정원 불법 선거개입을 규탄하기 위해 서울광장 촛불대회에 참석한 시민들 ⓒ이동호

국정원 직원 조씨도 부인 명의의 휴대전화를 이용해 국정원 직원 김씨에게 전화를 한 것으로 드러났고, 국정원이 직원 김씨·이씨에게 지급한 업무용 휴대전화도 국정원이 아닌 ‘국제○○○○○’ 등 우체국 사서함만 있는 유령 업체의 명의로 돼 있었다고 <한겨레>는 전했다.

이들은 또한, 주로 스마트폰과 아이피 변조 프로그램을 이용해 인터넷 활동을 벌여온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신의 정체와 활동을 숨기기 위한 목적으로 보인다. 스마트폰의 ‘테더링’ 기능을 이용해 인터넷에 접속하면 수시로 IP가 바뀌어 사용자를 특정하기가 어렵다.

<한겨레>는 경찰 수사 결과 국정원 직원 김씨는 어머니 명의의 스마트폰을 개통해 인터넷을 사용한 것으로 밝혀졌다. 직원 이씨도 마찬가지로 경찰이 이씨의 동생 명의로 개설된 스마트폰의 통화 내역을 분석한 결과 지난해 8월 5일부터 12월 12일까지 수신 3차례, 발신 3019차례가 확인됐다.

이 중 발신기록은 전부 인터넷 접속 기록이었다. 통화 목적으로 만든 것이 아니라 인터넷 활동을 위한 차명 스마트폰을 만든 것이다. 이씨는 이 스마트폰 번호로 인터넷 포털사이트 등에 가입해 활동하기도 했다고 <한겨레>는 전했다.

경찰 수사 결과 민간인 이씨는 국정원 직원 조씨의 친척 명의로 구입한 IP 변조 프로그램을 사용해 인터넷 커뮤니티 ‘오늘의 유머’에서 활동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 프로그램을 이용하면 여러 IP를 이용해 인터넷 접속이 가능하기 때문에 자신의 정체를 숨길 수 있다.

네티즌들은 해당 뉴스를 접하고 ‘대선심리전’이라며 분노했다. 한 네티즌(내멋***)은 “엘리트 집단이 아니고 양아치 집단이네. 대북심리전이 아니라 덜 떨어진 인간들 상대로 대선심리전 했네”라고 비꼬았고, 또 다른 네티즌(네고시***)은 “국가정보원? 아니죠. 국가범죄원이죠. 줄여서 국범원”이라고 비난했다.

이 밖에도 “세계 최고라 할 수 있는 조직범죄단”(나는***), “물증이 하나 하나 나오는 군..”(퀴리**), “국가기관이 알바를 고용해 댓글을 달다니.. 뭐 이런 나라가 다 있나?”(토*), “우리의 피 같은 돈이 저런 곳에 쓰인다니..”(야마**), “국민세금으로 뭐하는 짓이지? 이럴려고 세금 증세 하나?”(찬바람***) 라는 등 분통을 터트렸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고발뉴스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