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조 잘못하면 교수 2000여 명 ‘교수대회’ 열 것”
국가정보원의 불법 대선개입 규탄 시국선언에 참여한 교수들의 모임 ‘교수연구자 네트워크’(이하 교수 네트워크)가 ‘국정원 게이트’로 민주주의가 훼손된 현 상황을 타개하기 위한 본격적인 활동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이들은 5일 국회 앞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다음 주 국정조사가 제대로 끝나지 않으면 지금까지 시국선언에 참여한 교수 2000여 명과 함께 교수대회를 열겠다. 집회나 성명서 발표, 단식, 직접 의견을 전달하는 등 여러 방법을 통할 것”이라며 이같이 전했다.
‘교수 네트워크’에는 교수학술 4단체와 ‘민주화를 위한 전국 교수 협의회’을 비롯해 전국교수노동조합, 학술단체협의회, 한국 비정규직 교수노조 소속 70여 개 대학 총 2000여명의 교수들이 참여했다.
기자회견은 박배균 서울대 지리교육과 교수와 조용신 조선대 미술학과 교수, 조희연 성공회대 사회과학부 교수 등이 국정원의 불법 대선개입과 여론조작을 풍자하는 퍼포먼스와 함께 시작됐다.
백도명 서울대 환경보건학과 교수(민교협 상임의장)는 이날 “국정조사 기간에 휴가를 간다던가, 국정원 문제를 스스로 알아서 개혁하라는 것은 국민들을 어린아이 취급하고 우롱하는 것”이라며 “우리나라의 앞길을 바라보는 교수사회가 어떻게 생각하는지를 직접 나서 국민과 함께 이야기 해보고자 (교수 네트워크가) 조직됐다”고 밝혔다.
백 교수는 이어 “다음 주 국정조사가 제대로 끝나지 않으면 전국 교수대회 열고 국민들이 국정원 사태를 제대로 알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해 제대로 해결될 수 있도록 하겠다”며 “이것이 학생을 가르치고 지식을 담당하는 사람으로서 역할”이라고 강조했다.
교수노조의 유병제 교수(대구대)도 “국정원의 불법 선거 개입은 헌법기관이 헌법을 유린한 것”이라 규정하고 “(이번 국정원불법 선거 개입은) 40여 년 전 김대중과 박정희 후보가 맞붙은 대선에 중앙정보부가 불법 선거 개입한 것과 같은 정치적 상황”이라고 말했다.
그는 “우리가 이뤄온 민주화를 40년 뒤로 돌려놓은 역사적 맥락에서 반드시 불법 선거 개입 문제는 밝혀져야 하고, 그렇지 않으면 엄청난 국민적 저항이 일어나 우리 역사를 후퇴시킬 것”이라고 경고했다.
부산대 법학전문대학원 차정임 교수는 “학생들에게 민주주의, 법치주의, 공정을 가르치는 사람으로서 이번 사태에 대해 침묵하는 것은 부끄러운 일이라 생각돼 참여했다”며 “시국선언을 한 부산대학교 교수 159명은 교수대회가 개최된다면 버스 한대를 대절해서라도 참가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이날 기자회견에는 이미 강단을 떠나 은퇴한 교수들도 참석해 힘을 보탰다. 조선대 김성재 교수는 “국정원 사태는 세계적으로 자랑스러운 우리 민주화의 결과를 40년 뒤로 후퇴시켜 우리의 자존심을 훼손한 일”이라고 개탄했다.
장임원 중앙대 명예교수도 “우리는 4.19와 5.18 그리고 6월 항쟁을 통해 민주화를 이뤘다고 생각했지만, 오늘날의 작태를 보니 전혀 아니다”며 “우리 자신을 위해서가 아니라 젊은 사람들의 미래를 위해서 나섰다”고 설명했다.
한편, 기자회견을 마친 교수들은 오후 새누리당을 항의방문하고 서울 시청에서 장외 투쟁을 하고 있는 민주당 지도부도 만날 예정이라고 밝혔다.
- 광주대교구 사제·수도자들 508명 ‘시국선언’ 동참
- 부산교구 이어 마산교구도 시국선언…“숨겨진 것은 드러나게 마련”
- 천주교부산 ‘26년’만에 시국선언…“정의는 죽지 않는다”
- 방통대 시국선언 찬반투표…재학‧졸업생 71% 찬성
- 서울대 교수 128인…‘국정원 게이트’ 씻을 수 없는 ‘과오’
- 부산대 사회학과 98명 시국선언…“정부 미온적 대처” 규탄
- 연세대, ‘이한열 열사 정신’ 되새겨 시국선언 동참
- 대구, 20․30세대 시국선언…朴 vs 盧 아닌 朴 vs 국민 ‘싸움’
- 전국역사학자 시국선언 동참…“MB‧원세훈 법정 세워야”
- 한양·가톨릭·충남대 교수 ‘국정원 규탄’ 시국선언 가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