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주교부산 ‘26년’만에 시국선언…“정의는 죽지 않는다”

“朴정부, 박정희 유신독재+전두환 군사독재의 연장…융커 총리에 배워야”

천주교 부산교구 사제 121명이 민주주의 수호를 위해 26년만에 거리로 나선 가운데, 이동화 신부가 정보기관이 국내 정치에 개입한 스캔들로 사퇴한 룩셈부르크의 총리를 거론하며 “정보기관이 민간인들에 대해 사찰하는 부분이 누구에게까지 책임이 있는가”라면서 룩셈부르크에서 민주주의를 배워야 한다고 주장했다.

25일 천주교 부산교구 사제들이 26년만에 “정의는 죽지 않는다”는 성서의 한 구절을 들고 거리로 나섰다. 121명의 천주교 사제들은 6월 항쟁 때 부산지역 민주화 운동의 거점이 됐던 가톨릭센터에서 국가정보원의 불법 선거 개입을 규탄하고 민주주의의 근간이 흔들리는 현 세태를 엄중히 경고하는 시국선언문을 발표했다.

사제들은 시국선언문을 통해 “정의와 양심의 보루로써 기도하는 마음으로 최근 국정원의 대선 불법 개입과 공작정치, 그것을 둘러싼 소모적인 논쟁에 대한 우리 입장을 밝힌다”며 “작금의 사태에 통탄하지 않을 수 없다”고 밝혔다.

천주교 부산교구 이동화 신부(정의평화위원장)는 ‘go발뉴스’에 “우리가 관심을 가지고 있던 문제들보다 국정원 사건은 굉장히 엄중하고 무겁다”며 “몇몇 신부님들의 질책과 요청에 의해 진행하게 되었다. 공지한지 3~4일만에 100분이 넘는 신부들이 동참의 뜻을 밝혀오며 대다수의 사제들이 엄중함을 느끼고 있음을 실감했다”고 밝혔다.

이 신부는 지난 10일 룩셈부르크의 장 클로드 융커 총리가 사임을 결정한 것을 우리나라가 배워야 한다고 설명했다. 융커 총리는 룩셈부르크의 정보기관이 국내 정치에 개입한 스캔들로 사퇴했다. 융커 총리는 정보기관의 정치 개입에 직접적인 연루 사실이 드러나지도 않았고 본인의 연루도 전면 부인하고 있지만 관리 감독의 책임을 지고 스스로 걸어 나왔다.

이 신부는 “룩셈부르크 총리 사퇴는 우리에게 민주주의를 가르쳐주고 있는 것이다. 대통령직 사임을 하라는 게 아니라 전체적 책임을 져야 한다는 것”이라며 “정보기관이 민간인들에 대해 사찰하는 것에 대한 책임이 누구에게까지 있는가. 시간과 공간의 책임 범위는 엄중하고 막중하다”고 말했다.

ⓒ천주교 부산교구 정의평화위원회
ⓒ천주교 부산교구 정의평화위원회

부산교구 사제들은 “국정원이 대선에 불법 개입한 것과 이를 수사한 서울 경찰청의 발표가 허위였다는 것이 검찰 수사를 통해 사실로 드러났다. 국기문란 행위를 덮기 위해 2007년 회담 대화록을 불법 공개했다”며 “이 모든 일들은 우리가 소중히 지켜온 민주주의와 국기를 뿌리에서부터 뒤흔드는 중대한 범죄행이며 피와 희생으로 이뤄낸 민주주의 역사를 후퇴시키는 것”이라고 비난했다.

사제들은 박근혜 정부와 새누리당에 대해서도 규탄의 목소리를 높였다. 이들은 “지금의 사태가 이러함에도 불구하고 박근혜 정부와 새누리당은 진실규명과 책임지는 모습을 보이기는커녕 끝이 보이지 않는 침묵과 소모적 논쟁 그리고 온갖 핑계로 발뺌을 하고 있다”며 “이는 이 정부의 뿌리가 박정희 유신독재와 전두환 군사독재 정권의 연장이라는 것을 스스로 드러내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사제들은 박근혜 정부에 “신앙의 양심과 경고를 담아 촉구한다”며 △국정원 대선 개입 진상 규명과 책임자 처벌 △남북정상 대화록 불법공개 규명 △새누리당 당시 박근혜 후보 측의 대화록 불법입수 경위 공개 △대통령 사죄와 재발 방지 대책 발표 등을 요구했다.

이들은 이같은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을 경우 엄정한 대응을 해나가겠다고 경고했다. 이동희 신부는 “민주주의는 어린아이와 같아 사심을 품은 사람들에 의해 다칠 수 있는 것”이라며 “늘 지켜보고 돌보아야 한다. 계속해서 주시할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고발뉴스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