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관보고 합의된 발언 외 ‘비공개’
여야가 4일 오후 국회에서 국가정보원 불법 대선개입 사건에 대한 국정조사 정상화를 위해 원내대표와 원내수석부대표 국조 특위 여야 간사들이 모여 ‘3+3회동’을 벌였지만 증인 채택 등의 합의에 또다시 실패했다.
하지만 여야는 애초 예정됐던 국정원 기관보고를 5일 오전 10부터 비공개로 하기로 했고, 여야 협상 또한 계속 진행키로 했다.
<연합뉴스>등에 따르면 특위 여야 간사인 새누리당 권성동, 민주당 정청래 의원은 ‘3+3회동’ 직후 브리핑을 통해 “증인채택 문제나 증인에 대한 청문회는 내일(5일) 국정원 기관보고를 받으면서 양당 간사가 협의를 지속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날 회동에서 민주당은 원세훈 전 국정원장 및 김용판 전 서울경찰청장과 새누리당 김무성 의원, 권영세 주중대사 등 이른바 ‘원판김세’의 증인채택을 요구하고 오는 15일까지로 돼 있는 국조 기간의 연장도 주장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대해 새누리당은 김 의원과 권 대사에 대한 추가 증인채택 요구는 국정조사의 범위에 벗어난다며 ‘정치공세’라고 일축했고, 국조 기간 연장에도 부정적 태도를 보인 것으로 알려졌다.
원 전 원장과 김 전 청장에 대한 동행명령을 문서로 보장하라는 민주당의 요구와 관련, 권 의원은 “협상 내용은 공개하지 않기로 했다”며 답을 회피했고, 정 의원은 “서로 입장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정 의원은 “오늘 합의된 것은 거의 없다. 어렵지만 실낱같은 희망을 오늘 접지는 말자”며 “그동안 민주당이 주장한 것은 다 주장했고, 새누리당도 언론에 나온 대로 주장했다”고 설명했다.
한편, 5일 오전 10시부터 예정된 국정원 기관보고는 남재준 국정원장의 인사말과 간부소개, 여야 간사를 포함한 의원 등 총 4명의 기조발언이 각 10분씩만 공개되고 이후 질의응답은 비공개로 진행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