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중·고교 교과서 75%…전두환·노태우 구속 사실 ‘누락’

우리 사회 ‘권력구도’ 투영…집필자 등 역사관 반영”

광주시교육청이 5·18 민주화운동을 수록한 초등 5학년<사회> 1종, 중학<역사2> 9종, 고등<한국사> 6종 등 16종의 국정·검정 교과서 내용을 분석한 결과, 현행 초·중·고교 교과서 다수가 시민 학살의 책임자인 전두환·노태우씨의 구속 사실을 싣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

교육청은 지난 5월 뉴라이트 계열 교과서가 검정을 1차 통과하고 ‘일간베스트저장소’(일베)를 비롯한 보수 성향 사이트와 ‛채널A’ ‛TV조선’ 등 일부 종합편성채널에서 5·18을 왜곡하는 시도가 잇따르자 교과서 분석에 나섰다.

<한겨레>에 따르면, 현재 사용 중인 교과서로 5·18을 다룬 16종 가운데 75%인 12종이 1994년 전두환·노태우씨가 구속된 사실을 적시하지 않았다.

국정 교과서인 초등<사회> 5학년 교과서 114~115쪽에는 5·18 민주화운동과 6·10 민주항쟁이 동시에 수록되는 바람에 각각의 역사적 의의와 사건 전개의 기술이 빈약해졌다. 또 전두환·노태우씨 구속, 5·18 기록물의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 사실 등도 빠졌다.

검정 교과서인 중학<역사2>와 고교<한국사>는 5·18을 서술한 분량이 한 쪽에 불과했고, 역사적 의의나 세계사적 가치를 설명하는 내용은 다수 누락됐다. 5·18 정신의 정수를 보여주는 자치공동체의 실현 등도 중등 교과서 15종 가운데 10종에서 기술되지 않았다고 <한겨레>는 보도했다.

정종재 광주시교육청 장학사는 “이는 우리 사회의 권력구도가 투영된 것이고, 집필자나 출판사의 역사관, 인식차 등을 반영한 것으로 풀이된다”고 말했다.

송선태 5·18기념재단 상임이사는 “5·18 역사 왜곡이 사회문제로 떠오른 만큼 교과서에 계엄군 발포, 사망자 발생, 시민군 등장, 언론 통제 등도 반영될 수 있게 개정을 서둘러야 한다”고 강조했다.

교사들 역시 “전두환·노태우씨의 구속은 사회 정의를 실현하고, 역사적 교훈을 전달한다는 관점에서 반드시 알려야 하는 사항”이라고 입을 모았다.

교육청은 19일 교육부·국사편찬위원회·출판사 등에 공문을 보내 ‘오는 8월 교과서 검증 절차를 끝내기 이전에 개정할 것’을 촉구한다는 방침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고발뉴스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