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면전환 카드 돌려막기?’…늦게나마 정의가 세워지길”
서울중앙지검 전두환 미납추징금 환수전담팀(팀장 김민형 검사)이 16일 전씨의 미납추징금을 집행하기 위해 전씨의 연희동 자택을 비롯해 장남 전재국씨가 대표로 있는 시공사 등 10여곳을 압수수색중이다.
검찰은 이날 오전 서울중앙지검 외사부(김형준 부장검사)와 국세청 등 관련 기관을 비롯해 수사진 80~90여명을 전씨의 자택과 시공사 등에 보내 내부 문서와 회계자료, 컴퓨터 하드디스크 등을 확보 중이다.
검찰은 시공사 등에 대해 법원에서 압수수색 영장을 발부받았으며, 전씨의 연희동 자택의 경우 압수수색이 아닌, 국세징수법에 따른 재산 압류 처분을 진행 중이다.
<노컷뉴스>에 따르면, 검찰 관계자는 “3시간여의 압류절차 진행에서 상당한 현금과 환금성이 높은 자산을 이미 확보하는 등 성과가 있었다”고 말했다.
검찰의 전씨 일가에 대한 전격 압수수색이 이뤄지고 있는 가운데 트위터 등 SNS에는 다양한 반응들이 올라오고 있다.
이상호 기자는 자신의 트위터(@leesanghoC)에 “독재자 전두환 사저 앞. 촛불현장에 안보이던 기자들 다 와있네요”라고 현장 상황을 전하면서 “국세청의 뒤늦은 압류조치가 국면전환용이라는 지적도 나오고 있습니다”라고 덧붙였다.
한겨레 최성진 기자(@csj2007)는 “음모론은 누구보다 경계하는 편입니다만, 국정원 대선개입 사건이 불거진 뒤 시간차를 두고 ‘맥락없이’ 터져나오는 ‘남북정상회담 대화록 공개’→‘4대강 감사결과’→‘전두환씨 사저 압수수색’ 등 일련의 정치적 이벤트는 참으로 신비롭군요”라는 글을 게시했다.
파워 트위터리안 레인메이커(@mettayoon)는 “‘국정원 게이트’가 해결이 안 되니까 이명박 카드, 전두환 카드, 귀태에 대한 분노로 표현한 박정희 카드까지. 카드 돌려 막기 중이군요. 돌려 막기의 끝은 파산이라는 사실을 잊지 말기를”이라며 ‘국면전환용 카드’라는 의혹을 제기했다.
또 박근혜 대통령이 후보시절 약속한 바 있는 전두환씨로부터 받은 6억원에 대한 사회 환원 요구도 빗발쳤다.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 모임’의 이재화 변호사는 (@jhohmylaw)는 “검찰이 전두환 재산 추적에 나섰는데, 박근혜, 대선 때 ‘전두환으로부터 받은 6억원 환원하겠다’는 대국민 약속 왜 안 지키느냐”며 “원금+이자까지 국고에 반납하라”고 요구했다.
이외에도 “박근혜대통령님, 6억원은 언제 돌려주실 건가요?”(@ss******), “재산 압류와 압수수색이 만시지탄이지만 이번에는 쇼가 아닌 제대로 집행해야 하고 경호 조치도 당장 취소해야 한다”(@seo****), “제발...대국민쑈가 아니기를”(@Sar*****), “늦게라도 정의가 바로 세워졌으면 한다”(@****rk), “4대강, 전두환 꺼내 들었는데 다음은 뭐가 또 있으려나”(@iha****), “페인트모션 아니길 바라며, 국정원 사건에서 국민 눈 돌리게 하려는 꼼수는 더더욱 아니길(바란다)”(@Yan*******)는 의견들이 올라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