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차 건 전화”…네티즌 “국정원, 흥신소 본점이냐?”
국정원이 ‘국정원 대선개입 규탄 시국선언’에 참여한 대학의 총장실에 사찰성 전화를 건 것으로 드러나 논란이 일고 있다. 국정원은 해당 학교에 시국선언과 관련한 동향 파악을 요구한 것으로 확인돼 국정원의 불법행위에 대한 비판이 거세질 것으로 보인다.
27일 <한겨레>는 인하대를 담당하는 국정원 직원이 이번주 초 인하대 총장실에 전화를 걸어 “서울에 있는 대학들이 시국선언을 하는 등 움직임이 많은데 인하대에서는 특별한 활동이 없느냐”고 물었다고 보도했다.
국정원의 전화를 받은 총장실 직원은 인하대 법학전문대학원(로스쿨)의 인권법학회가 다른 5개 로스쿨 인권법학회와 함께 국정원 규탄 성명서를 낸 사실을 확인하고, 로스쿨 교직원에게 전화를 걸어 성명서가 나온 배경을 물었다고 전했다. 따라서 이 교직원은 인권법학회 회원인 학생에게 “촛불시위에 나가느냐? 외부 단체와 연계가 있느냐? 혹시 민주노총과 함께하냐?” 등의 질문을 했다고 <한겨레>는 보도했다.
<한겨레>는 인하대 로스쿨 인권법학회는 이번 인권법학회 공동 성명 발표를 주도한 곳이어서 국정원이 이를 알고 본격적인 사찰에 나선 게 아니냐는 의혹이 일고 있다고 전했다.
이 학회 소속의 한 학생은 “성명서에는 로스쿨 6곳의 인권법학회가 함께했는데, 인하대 학회가 초안을 만들고 각 학교 입장을 모았다”며 “국정원이 우리 학회가 성명을 주도한다는 것을 알고 연락을 취한 게 아닌지 의심이 든다. 다른 로스쿨 학회 쪽에선 이런 질문을 받은 적이 없다고 한다”고 전했다.
이 학생은 “국정원이 학교에 연락했다는 말을 듣고 처음에는 깜짝 놀랐고 무서웠다”며 “대학생들의 자발적인 활동까지 사찰하는 데 분노한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국정원 관계자는 <한겨레>에 “인천 지역 담당자가 최근 바뀌어서 인사차 총장실에 전화를 건 것뿐”이라며 “학생들의 동향에 대해 물어본 것은 없었다”고 해명했다.
인하대 쪽은 “(국정원 직원의 전화를 받고) 단순히 동향 파악 차원에서 인권법학회에 전화했다”며 “학생들에게 성명서 발표에 참여한 사실만 확인했고 외부 단체 연계 여부 등은 묻지 않았다. 인권법학회 성명서와 관련해 파악된 내용은 국정원에 따로 알리지 않았다”고 말했다.
네티즌들은 해당 소식을 접하고 ‘독재’라며 비난 목소리를 높였다. 한 네티즌(네고*****)은 “창조경제가 아니라 창조독재다. 정말 소름끼친다. 이 나라가 어디로 가려는지”라고 규탄했고 또 다른 네티즌(엽기**)은 “국정원이 뭐 해야 하는 곳인지 모르는 정권이구만! 국민들을 사찰하는 게 니들 임무가 아니다. 정권의 개가 되어 특정 정당을 지키는 게 아니라 나라를 지키는게 임무야”라고 일갈했다.
이 밖에도 “게슈타포 냄새가 나면 안 되요 국민의 국정원이 되 주세요”(te***), “국정원을 앞으로 흥신소 본점이라 칭한다”(gufh******), “국익에 도움이 되는 활동은 안하고 기껏해야 민간인 사찰하고 댓글질이나 하는 것들이 무슨 국가정보원이냐..”(딩*), “조만간 대학마다 탱크가 주둔하는 날이 있겠네요. 안보 위기 핑계로 대학생 교련훈련 부활하는 건 아닐까요?”(win****), “하다하다 이제는 대학사찰까지?? 5공보다 나은 게 뭐냐? 대한민국은 30년 전으로 되돌아 간 거다”(goo******) 등 비난 글들이 잇따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