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법파견’ 삼성전자서비스…조직적 증거 인멸

野 “삼성 ‘위장도급’ 노동부가 나서라”

대규모 불법파견 의혹을 받고 있는 삼성전자서비스가 조직적으로 증거 인멸에 나선 정황이 드러난 가운데, 열악한 노동환경에 대한 증언도 잇따르고 있어 파문이 예상된다. 이에 야권에서는 고용노동부에 불법파견 여부를 조사할 특별근로감독을 즉각 촉구하고 나섰다.

은수미 민주당 의원은 18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삼성전자서비스가 위장도급 의혹이 알려진 후 각 센터 사업장에서 삼성 로고가 박힌 홍보물과 물건을 치우고 있다는 소식을 들었다”며 “경기도 이천의 한 센터에서는 삼성전자서비스 마크가 박힌 조끼를 전부 회수하고 급하게 협력업체 로고를 급조해 박아 넣은 조끼를 주문했다고 한다”고 밝혔다.

19일 <경향신문>에 따르면, 서울 지역의 협력업체 직원 ㄱ씨는 “오늘 서비스센터와 같은 건물에 있던 본사 직원이 내려와 내부 문서를 파쇄하는 걸 봤다”며 “사무실에서 삼성전자서비스 지시사항, 플래카드, 액자 등을 모두 떼고 있다”고 밝혔다.

부산 지역 협력업체 직원 ㄴ씨는 “벽에 붙어 있던 삼성전자서비스의 고객응대 매뉴얼인 ‘MOT’ 등 부착물을 모두 떼어내 벽이 깨끗하다”고 말했다. MOT(Moment Of Truth)는 삼성전자서비스의 고객응대 매뉴얼로 총 18개 항목으로 구성돼 있다. 

협력업체들은 직원들의 회유를 위해 개별 면담도 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서울 지역의 협력업체 직원 ㄷ씨는 “아침에 협력업체 사장이 면담하자고 연락이 와 만났다”며 “내가 삼성전자서비스 협력업체 직원들의 인터넷 모임에 가입한 사실을 이미 파악하고 있었으며 탈퇴를 권유했다”고 말했다.

수도권 지역의 협력업체 직원 ㄹ씨도 “센터에서 면담을 실시하고 있으며 본사에서 직접 불러서 회유·협박을 하는 곳도 있다”며 “협력사 직원들끼리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것을 막기 위해 직원들의 휴대폰을 열람하는 경우도 있다”고 전했다고 <경향>은 보도했다.

ⓒ'go발뉴스'
ⓒ'go발뉴스'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의 권영국 노동위원장과 은수미 의원, 심상정 진보정의당 의원등이 공개한 ‘삼성전자서비스 협력업체 근로 검토’ 자료에는 하청업체 직원의 대부분이 저임금, 강요에 의한 연장근로·조기출근 등의 고강도 노동에 시달리고 있음도 드러났다.

고강도 노동에 시달리는 하청업체 직원들에 대해 권영국 변호사는 <한겨레>에 “협력업체가 삼성전자서비스의 위장도급 형태라 노동자들도 착취 근로구조에 노출될 수밖에 없다”며 “임금 산정 기준부터가 근로시간이 아닌 ‘콜수’라 근로시간 제한과 최저임금에 관한 근로기준법 규정 자체를 형해화시킨다”고 밝혔다.

눈덩이처럼 불어나는 ‘불법파견’ 문제에 진보정의당 정책위원회도 논평을 통해 “삼성전자서비스는 협력업체 직원들을 불법파견으로 고용하고 있음을 인정하고 즉시 직접 고용에 나서기를 요구한다”며 “그것이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기업으로서 최소한 지켜야 할 법적·윤리적 책무”라고 꼬집었다.

정책위는 이어 “그런데 애석하게도 현재까지 삼성은 불법파견이나 위장도급을 인정하고 있지 않다. 그렇다면 고용노동부가 나설 때”라며 “노동부는 삼성전자서비스에 대한 특별근로감독을 실시하여 불법파견 또는 위장도급 여부를 조사하여야 한다. 노동부의 즉각적이고 단호한 근로감독을 요청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고발뉴스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