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 “6일 아침까지도 검열실장직 유력”… 임성근 “무죄 입증 주력할 것”
‘故채수근 상병 사망 사건’ 관련 지휘·책임자 중 한 명인 임성근 해병대 1사단장을 군 요직인 합동참모본부 전비태세검열실장에 임명하는 것을 정부 내에서 유력하게 검토했다는 보도가 나왔다.
복수의 정부 소식통을 인용한 동아일보 6일 자 보도에 따르면, 임 사단장은 이르면 이번 주 정부가 진행할 중장 이하 장성인사에서 소장 계급은 유지하되 합참 전비태세검열실장에 유력하게 거론된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동아에 “임 사단장이 채 상병 사망과 직접적인 인과관계가 있다는 수사 결과가 아직 나오지 않았다”며 “여론이 안 좋다는 이유로 임 사단장을 보직 해임하는 등 인사 조치하는 건 부당하다는 공감대가 정부 내에 있었다”고 했다.
앞서 지난 3일 신원식 장관은 국방부 기자단 간담회에서 임성근 사단장에 대해 “임기가 다 돼 보직을 조정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임성근 사단장은 ‘채상병 사건’ 수사외압 의혹의 핵심 당사자 중 한 명이다. 박정훈 전 해병대수사단장 측은 국방부가 임 사단장 등의 범죄혐의 적시를 제외하라는 외압이 있었다고 밝혔고, 해병대수사단의 1차 조사에서는 임 사단장은 업무상 과실치사 혐의가 적시되어 경찰에 이첩됐다. 하지만 국방부가 이첩자료를 회수한 후 2차 조사한 후 재이첩할 때는 임 사단장에 대한 혐의가 기재되지 않았다.
그러자 故채수근 상병의 선임 병사인 A씨가 전역하자마자 임성근 사단장을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에 업무상과실치상죄로 지난달 25일 직접 고소했다.
합참 전비태세검열실장은 북한의 무인기 침범과 관련한 대응 등 각 군의 작전 및 전투 준비 태세를 검열하는 직책으로 해병대 소장이 맡는다.
동아는 “올해 7월 해병대 병사들을 동원해 수해 복구 작전에 나설 당시 작전 준비에 미흡했고 무리한 작전을 지시했다는 의혹을 받는 당사자인 임 사단장에게 부적합한 직책이라는 지적이 군 내에서 나온다”고 전했다.
또 “일각에선 정부가 임 사단장에게 요직을 주는 대신 정책연수를 보낸 뒤 수사 결과를 지켜보는 방안 등으로 여론을 달랬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고 하면서, 정부 소식통은 “임 사단장에게 주요 직책을 주지 않으면 외압 의혹을 정부가 인정하는 격이 되는 게 부담이 됐을 것”이라고 했다고 덧붙였다.
동아일보의 이 같은 보도 이후 임성근 사단장이 “무죄 입증에 주력하겠다”는 입장을 밝히며 합동참모본부 전비태세검열실장 자리를 고사한 것으로 전해졌다.
동아의 후속 기사에 따르면, 정부 소식통은 “6일 오전 중장급 이하 장성 인사를 앞두고 임 사단장이 합참 전비태세검열실장직을 맡기 어렵다는 의사를 밝혀왔다”며 “이날 아침 임 사단장이 합참 요직 중 하나인 전비태세검열실장을 맡는다는 보도가 나온 뒤 해병대 내부는 물론이고 여론이 악화되자 이 같은 결정을 한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동아는 “실제로 정부는 임 사단장을 전비태세검열실장 유력 후보자로 올렸지만 이날 아침까지도 최종 확정은 하지 못하고 여론을 살핀 것으로 알려졌다”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