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티즌 “뭐가 경고인지? 스포츠계도 모두 썩어” 맹비난
고교생 태권도 선수를 아들로 둔 아버지가 심판의 판정에 부당함을 호소하는 내용의 유서를 남기고 스스로 목숨을 끊는 사건이 일어났다. 안타까운 소식에 네티즌들은 체육계도 모두 부패했다고 비난하며 심판에 대한 엄중한 수사와 처벌을 요구한다는 목소리를 높였다.
29일 충남 예산경찰서는 태권도장을 30년째 운영하고 있는 전모씨(47)가 28일 오후 1시께 충남 예산군의 한 공터에 주차된 자신의 차량 안에서 스스로 목숨을 끊은 채로 발견됐다고 밝혔다.
<뉴시스>에 따르면, 전씨는 유서를 통해 자신의 아들이 지난 13일 국기원에서 열린 34회 협회장기 겸 94회 전국체전 서울시대표 고등부 3차 선발전에서 심판의 부당한 판정 탓에 7차례 경고를 받고 패했다고 주장했다.
전씨는 유서에서 “그 XX(심판) 하곤 인천에서부터 악연이 시작이었다. 우리 아이들이 인천에서 하도 당해서 서울로 중·고등학교를 보냈는데 또 만났다”며 “전국체전 서울시 지역선발 3차 고등부 핀급 결승전에서 아들과 상대방의 점수 차가 3회전 50초를 남기고 5:1로 벌어지자 경고를 날리기 시작했다”고 썼다.
전씨는 “경고 7개로 50초 동안 경고 패를 당한 우리 아들, 태권도를 그만두고 싶단다. 결국 내가 지친다”고 덧붙였다.
태권도 경기에서의 심판 판정 논란은 계속 되어 왔었다. 지난해 런던올림픽부터 전자호구와 실시간 비디오 판독 시스템의 도입으로 발전했다는 평가가 있지만 ‘경고’는 심판의 재량이다.
2004년 아네테올림픽 태권도 금메달리스트인 문대성 국회의원은 <뉴시스>에 “심판의 의도적인 편파 판정이 아니라면 불가능할 일”이라며 “상상할 수 없는 일”이라고 밝혔다. 이는 전씨의 주장대로 심판이 의도적으로 ‘경고’를 남발했을 수도 있다는 것이다.
전씨가 올린 것으로 추정되는 동영상은 네티즌들이 온라인 커뮤니티 등으로 퍼 나르면서 ‘편파 판정’ 논란을 일으키고 있다.
네티즌들은 “죽기 전에 그렇게 호소를 해도 들은 체도 안한 협회.. 우리나라 체육 관련 횝회는 전부 쓰레기만 모여 있나”(DR***), “예·체능계도 정치, 기업만큼 썩었다는 걸 이젠 모든 국민들이 다 알고 있다. 철저히 분석해서 고의성이 있다면 엄벌로 처해야 한다”(노블**), “심판 영원히 자격 박탈해야 된다”(새로운******), “빙상, 태권도, 축구, 배구, 농구, 유도 등 안 썩은 곳이 없네”(수천****) 등의 비난 의견이 잇따랐다.
동영상을 본 네티즌들은 “도대체 뭐가 경고인지? 소극적이라고 해서 경고 줬으면 다 경고 받아야겠네”, “세 명의 부심은 뭐하는 사람인지?”, “주로 맞고 있으면 알아서 점수 주는 게 태권도였네” 등의 비난 댓글이 게시됐다.
한편, 전씨가 유서에 실명을 언급한 해당 심판은 현재 대한태권도협회(회장 김태환) 기술전문위원회와 인천시태권도협회 및 서울시태권도협회 상임심판으로 활동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대한태권도협회와 서울시태권도협회는 이번 사건에 대해 자체 조사에 들어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