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호 기자 “류호정의 삼성간부 비판 핀트 빗나갔다”

“삼성, 미전실 해체 천명하며 대관업무 중단 약속해놓고 여전히 활동”

새누리당 당직자 출신의 한 삼성전자 간부가 실체가 불분명한 언론사를 앞세워 국회의원실을 자유롭게 드나들며 버젓이 대관 업무를 해온 것으로 드러났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정의당 류호정 의원은 7일 기자회견을 통해 “삼성전자의 중소기업 기술탈취 관련 민원을 접수하고, 사실 확인을 위해 부사장을 증인으로 신청”한 이후에 “의원실의 확인 없이 삼성전자의 간부 한 사람이 매일같이 (의원실에 찾아)왔다”고 밝혔다.

류 의원은 “(해당 간부의) 출입 경위를 알아보니, 한 언론사의 기자출입증을 가지고 들어온 것이었다”며 “국회 상시 출입기자 명단에서 해당 간부의 이름을 쉽게 찾을 수 있었고, 뉴스 검색을 통해 전 새누리당 당직자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전했다.

▲ 류호정 정의당 의원이 7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전체회의실에서 열린 산업통상자원부 국정감사에서 성윤모 장관에게 질의하고 있는 모습. <사진제공=뉴시스>
▲ 류호정 정의당 의원이 7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전체회의실에서 열린 산업통상자원부 국정감사에서 성윤모 장관에게 질의하고 있는 모습. <사진제공=뉴시스>

관련해 의원실 관계자는 이날 ‘go발뉴스’와의 통화에서, ‘처음에는 기업의 대관 업무를 하는 것이라 생각했다’며 “그것까지는 자연스러운 일인데, 그 과정에서 무리하게 얘기가 반복되고, 무리한 요청을 하다 보니 해당 간부에 대해 파악해본 것”이라고 설명했다.

해당 관계자는 삼성전자 간부의 ‘무리한 요청’이 무엇이었는지에 대해서는 “내일(8일) 국정감사장에서 공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날 머니투데이 보도에 따르면, 류호정 의원실을 수시로 방문한 대기업 간부는 삼성전자 상생협력센터 대외협력팀 이모 상무로, 그는 ‘코리아뉴스팩토리’라는 이름의 인터넷 매체의 기자를 겸직하면서 국회 장기출입기자로 등록된 상태다. 이 상무의 삼성전자 입사 시기는 2016년 1월이고, 국회 출입기자 등록 시점은 2016년 6월인 것으로 알려졌다.

‘코리아뉴스팩토리’와 관련해 YTN은 “(해당 매체가) 국회에 등록한 주소를 찾아가봤더니 엉뚱하게도 생선구이집이었다”면서 “주변에서도 국회에 등록된 언론사는 확인되지 않았다”고 보도했다.

한편, 류호정 의원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오늘 오전 10시 개회한 국회 산자중기위원회는 2020년도 국정감사 일반증인 및 참고인을 변경해 채택했다”며 “지난 9월 24일, 상임위 전체회의에 의결된 것과 달랐다”고 했다.

류 의원은 자신이 삼성전자 상생협력센터장인 부사장을 국정감사 증인으로 신청했는데, 철회됐다며 그 과정에서 자신과는 아무런 상의도 없었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국민의 대표로서, 대한민국 헌법기관으로서, 법과 정의의 관념에 어긋나는 어떠한 관행도 용납하지 않겠다”며 “‘좋은 게 좋은 거라는 식’으로 이뤄지는 모든 관례를 거부하겠다”고 밝혔다.

▲ 10월7일 방송된 고발뉴스TV '뉴스비평' 방송 화면.
▲ 10월7일 방송된 고발뉴스TV '뉴스비평' 방송 화면.

류호정 의원의 이 같은 문제제기와 관련해 이상호 기자는 ‘고발뉴스TV’ <뉴스비평>에서 “류호정 의원이 이 문제를 지적한 것은 좋다”고 평가하면서도 “삼성전자 간부가 뉴스팩토리라는 언론사 출입증으로 국회에 들어온 것도 문제지만, 실체가 불분명한 언론사의 기자증으로 아직도 삼성이 대관업무를 하고 있다는 것 자체를 비판해야 한다”며 비판의 핀트가 빗나갔다고 꼬집었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은 지난 2016년 ‘박근혜-최순실 국정농단’ 청문회에서 ‘과거와의 단절’을 위해 미래전략실 해체를 약속했다. 당시 삼성은 잘못된 과거 관행을 끊겠다며 대관업무를 하던 조직도 해체한다고 강조했었다.

이상호 기자는 “미전실 해체를 천명하며, 대관업무를 하지 않겠다고 약속해놓고 삼성이 여전히 대관업무를 하고 있었다는 것”이라 짚고는 “적어도 정의당의 국회의원이라면 삼성이 대관업무를 하지 않겠다고 선언했다는 사실 정도는 알고 있어야만 했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삼성의 대관업무 활동을 먼저 고발하고, 그 다음에 삼성전자의 간부가 실체가 불분명한 언론사의 출입기자증으로 국회에 출입한 부분에 대해서는 기자협회나 언론단체에 자정을 촉구했어야 했다”며 “(비판의) 선후관계가 잘못됐다”고 꼬집었다.  

저작권자 © 고발뉴스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