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어준 “포털에서 찾기 힘든 뉴스”…정운현 “극우관변단체 지원 행동대장 전경련”
박근혜 정부의 ‘화이트리스트’ 작성과 지원에 삼성 미래전략실이 주도적인 역할을 한 사실이 드러났다고 이뉴스투데이가 2일 보도했다.
이뉴스투데이가 입수한 자료에 따르면 허현준 전 청와대 비서실 선임행정관은 삼성과 밀접한 관계를 맺으며 화이트리스트를 특별 관리했다. 이 과정에서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의 지원금이 비정상적으로 지출된 것으로 드러났다.
박근혜 정부 청와대는 전경련이나 기업들에 요구해 보수‧우익 성향 단체에 지원금을 대주고 관제시위를 지시하는 등 ‘화이트리스트’를 운영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전경련은 앞서 2008~2017년 기간의 예산 및 집행 서류를 검찰에 제출했다. 그 내용에 따르면 사회공헌네트워크 사업비가 2014년 총선을 기점으로 100억으로 급증했다. 2013년까지 연평균 약 50억원으로 유지되던 외부단체 지원금이 갑작스레 2배 가까이 늘어난 것이다.
기존의 전경련 사회공헌네트워크 사업비는 자유경제원 20억, 시장경제 교육단체 20억, 기타 연구 단체 및 개인에 대한 지원금이 10억원 가량이었다.
그러나 삼성과 허현준 전 행정관 등 청와대 인사가 개입하면서 매년 50억 가량이 정치 목적 단체로 빠져나갔다.
삼성측이 전경련에 특정 단체에 대한 지원을 요청하면 전경련이 이를 수행하는 방식으로 이뤄졌다고 이뉴스투데이는 보도했다.
전경련의 한 관계자는 “김완표 전 삼성 미래전략실 전무가 특정 단체를 지목하며 얼마를 지원하라고 지시를 내리면 삼성의 명령이니 어쩔 수 없이 따르는 형식이었다”고 말했다.
지난해 특검 수사에 따르면 김완표 전 전무는 이승철 전 전경련 상근부회장과 함께 2014~2016년 청와대 정무수석실의 ‘관제데모’ 지원 회의에 주기적으로 참석했다.
전경련 관계자는 “김 전 전무가 청와대를 등에 업고 실질적인 그림을 그리면서 실무에까지 관여했다”며 “전경련으로부터 지출된 50억원 상당의 지원금은 보수단체는 물론 특정 대학생 단체로까지 1~2억원이 흘러들어갔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방송인 김어준씨는 3일 tbs라디오 ‘김어준의 뉴스공장’에서 “굉장히 큰 단독기사”라며 “청와대가 화이트리스트를 관리하는데 그 직접적인 집행은 삼성의 미전실이 주도하고 관리했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김씨는 “삼성이 국가기관도 아닌데 국정을 운영했다”며 “청와대는 최순실이 운영했고 국정원은 삼성이 운영했다고 표현할 수 있을 정도”라고 놀라움을 표했다.
그러면서 김씨는 “청와대가 화이트리스트를 만들었다는 것은 여러 차례 보도됐지만 그 자금의 집행을 삼성의 미전실이 주도했다는 것은 처음 나온 얘기”라며 “매우 중요한 뉴스이지만 주요 포털사이트에서는 보기 힘들다”고 지적했다.
정운현 전 <오마이뉴스> 편집국장은 SNS에서 “박근혜 청와대와 짝짜꿍이 돼 극우 관변단체 지원의 사령탑 역할을 한 삼성 미래전략실, 삼성의 지시를 받아 지원금을 집행한 행동대장 전경련”이라고 말했다. 이어 정 전 국장은 “그 악마의 연결고리를 끊어내야 한다”면서 “전경련은 해체가 정답”이라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