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언론 지적’에 검찰이 나서…그간 얼마나 한몸 되어 움직여왔는지 보여주는 촌극”
청와대는 ‘유재수 감찰 중단 의혹’ 수사와 관련 16일 “이상한 일이 벌어졌다”며 “검찰이 나서서 언론 보도가 맞다는 취지의 입장을 밝혔다”고 지적했다.
기자 출신 윤도한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이날 서면 브리핑에서 “어제 청와대는 언론의 의혹 보도, 추측 보도가 사실이 아니라고 밝혔지 검찰의 수사에 대해 언급하지 않았다”며 이같이 말했다.
전날 청와대는 금융위원회 인사를 논의하는 텔레그램 단체 대화방은 존재하지 않으며 ‘김기현 비리 첩보’를 수집하지 않았고, 하명 수사도 없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윤 수석은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청와대가 민간인을 사찰한 것은 물론 여러 가지 불법과 비리를 저질렀다는 많은 보도가 있었다”며 “그때도 지금처럼 수사가 진행 중인 상황에서 근거 없는 일방의 주장이 보도됐지만 사실이 아닌 것으로 밝혀졌다”고 말했다.
윤 수석은 “그러나 허위 주장, 허위 사실로 밝혀져도 보도된 만큼의 정정 보도나 고침 보도는 없었다”며 “이로 인해 국민들의 뇌리에는 수사 결과와 상관없이 또 재판 결과와 상관없이 허위 사실이 사실로 인식되고 있다는 점을 언론인 여러분들께서 참고해 주셨으면 한다”고 언론에 불만을 표했다.
이에 대해 다수 언론들은 대검찰청이 곧장 반박에 나섰다고 보도했다. 대검 관계자는 “(청와대 발표는) 수사를 통해 확인된 사실 관계나 증거를 알지 못하는 당사자들의 주장을 발표한 것에 불과하다”며 “청와대가 수사 내용을 전혀 모르고 일방적 주장을 했다”고 반박했다.
이를 지적하며 윤 수석은 “청와대는 언론의 보도에 대해 말했고 검찰 수사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윤 수석은 “검찰이 언론에 밝힌 내용을 보면 “검찰은 절차에 따라 수사를 하고 있고 증거에 따라 처리할 것이다”라고 돼 있다”며 “당연한 얘기이고 청와대도 그렇게 기대한다”고 말했다.
또 “검찰은 “수사 결과를 보면 수긍할 것이다”라고 밝혔다”며 “역시 당연한 얘기이고 그렇게 돼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윤 수석은 “검찰은 수사 결과로 보여 주시고, 언론은 정확한 사실을 보도해 주셨으면 좋겠다”고 거듭 당부했다.
이에 대해 허재현 전 <한겨레> 기자는 SNS에서 “요즘 정말 희한한 풍경이 벌어진다”며 “검찰이 법조기자들을 대신해, 입장을 계속 밝힌다”고 지적했다.
허 기자는 “얼마 전 PD수첩 보도에 대해 검찰이 나서 ‘법조 기자단의 명예를 훼손했다’고 입장을 밝혔다”며 MBC PD수첩 ‘검찰기자단’편 방송에 대한 대검 대변인실의 반응을 떠올렸다.
PD수첩 한학수 PD도 “(검찰이)왜 자신의 문제가 아닌 검찰 출입기자단의 명예까지 염려하는 지 이해가 가지 않았다”고 지적한 바 있다.
허 기자는 “청와대는 유재수 감찰 무마 의혹 관련 언론보도에 대한 입장을 밝혔는데, 검찰이 또 ‘일방적 발표’라고 나섰다”고 지적했다.
허 기자는 “그간 검찰 기자들과 검찰이 얼마나 한몸이 되어 움직여왔는지 보여주는 촌극”이라며 “언론이 검찰의 일방적 발표에 종속되어 있다 보니, 검찰 스스로도 법조 기자들을 대신해 입장을 밝히는 것에 거리낌이 없는 것”이라고 해석했다.
이어 허 기자는 “검찰 기자실 운용의 개혁이 필요하다”며 ‘기자실의 폐쇄 및 운용 개선’을 촉구하는 청와대 국민청원에의 동참을 호소했다. 해당 청원은 16일 오후 현재 4만6천명을 넘었다.
- ‘무리한 기소’ 운운 ‘태세 전환’ 언론들, 자격 있나
- 최경영 “언론 ‘정경심 기소장’ 쓴 검사 이름은 왜 안 밝히나”
- SBS 부끄러운 검찰발 ‘김경수’ 단독과 법조기자단의 가처분소송
- PD연합회 “부끄러운 언론 이야기에 대검·기자단 감정적 대응”
- 한학수 PD, 기자단 성명에 반박…“취재원 보호 원칙 아닌가”
- 법조기자단 ‘법적대응’에 최경영 “그동안 ‘카더라 명예훼손’은?”
- ‘PD수첩’ 사과 요구 성명서 낸 법조기자단…주진우 “쪽팔리지 않으세요?”
- 검찰과 기자단 비판한 PD수첩…PD수첩 비판한 언론
- 대검 “PD수첩 악의적 보도”…한학수 “보신 국민들 판단할 것”
- 검언 공생관계, 기자가 회장 사건 청탁→불기소로…“60% 이상 수용”
- 취재자유는 출입기자단의 자유가 아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