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대위 발족…대교연 “취업률 반영하는 대학평가제 폐해”
중앙대가 비인기학과 구조조정 문제로 학내 구성원과 마찰을 빚고 있는 가운데, 한국대학교육연구소는 여러 대학들의 비인기학과 통폐합 문제 중 하나로 정부의 대학평가제를 꼽았다. 취업률을 평가에 반영하기 때문에 대학본부도 어쩔 수가 없다는 것이다.
2일 <뉴시스>는 중앙대학교 단과대별 학생회가 구조조정 공동대책위원회를 발족하고 “대학본부의 일방적인 비인기학과 구조조정을 규탄한다”고 밝혔다.
대책위는 이날 기자회견을 열고 “지난 4월 15일 인문대 아시아문화학부 내 비교민속전공 등 4개 학과가 일방적인 신입생모집 중단, 즉 폐과를 통보 받았다”며 “정작 구조조정의 당사자인 해당 학과 학생들과 교수들은 중대신문의 발표가 있기 전까지 구조조정에 대한 학교 측의 어떠한 공식적인 입장도 듣지 못했다”고 비판했다.
중앙대는 전공 선택 비율이 비교적 낮은 인문사회계열의 비교민속학과, 아동복지학과, 청소년학과, 가족복지학과 등 4개 학과를 대상으로 구조조정을 추진 중에 있다.
대책위는 “이틀 동안 3700명이 넘는 학우들이 반대 탄원서에 서명했고 지난 4월에는 7년 만에 학생총회가 성사돼 2000명이 넘는 학생들이 모여 구조조정 반대 의견을 모았다”며 “구조조정에 대한 학생들의 불만과 요구가 얼마나 큰 지 알 수 있는 사례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비단 4개 학과만의 문제가 아니라 77개 학과를 40여개로 재편했던 2010년 구조조정의 연장선상”이라며 “2011년 가정교육과가 일방적으로 폐과됐던 사실로 미뤄보면 학교는 구조조정을 상시적으로 진행할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중앙대학교 측은 ‘go발뉴스’에 “구조조정 추진 중이다. 아직 확정은 아니고 제일 좋은 안을 내기 위해 교수님들과 함께 논의 중인 걸로 알고 있다”며 “학내 언론을 통해 학생들이 인지해서 논란이 되고 있는데, 이는 학내 커뮤니티를 통해 공지했고 전공 선택 비중이 낮은 학과 등을 통계자료로 밝혔다.”고 말했다.
비인기학과의 폐지방침 문제로 몸살을 앓는 대학은 중앙대 뿐만이 아니다. 부산외대는 지난달 러시아인도통상학부 폐지 문제로 학생들과 마찰을 빚었고, 취업률이 낮은 학과를 대상으로 경기대, 부산대 등이 학과 통폐합을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같은 통폐합 문제는 정부의 ‘대학평가’가 한몫을 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한국대학교육연구소 연덕원 연구원은 ‘go발뉴스’에 “인기가 떨어진 학과를 없애고 취업인기학과를 중심으로 신설하는 문제가 종종 일어나고 있다. 정부의 대학관련 평가에 취업률을 반영하다 보니 학과 개편이 이루어지는 면도 있다”며 “대학 입장에서는 평가에 반영이 되기에 구조조정을 할 수 밖에 없는 것”이라고 밝혔다.
연 연구원은 “인기 중심으로 학과들을 구조조정 하게 되면 더 나아가 (학문적으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며 “대학 구성원의 의견을 충분히 반영하지 않은 상태에서 결정해 문제가 되는 것 같다”고 말했다.
앞서 인문사회계열 김호섭 부총장은 지난달 13일 중앙대 학내 신문인 <중대신문>에 “학생들의 전공선택비율이 낮은 전공에 대해서 구조조정이 필요하다”며 “학교를 경영하는 입장에서 예산이 풍부한 편도 아니기 때문에 구조조정은 어쩔 수 없이 이뤄져야 한다고 판단했다”고 밝힌 바 있다.
김 부총장은 비교민속학전공의 경우 2개년 평균 전공선택비율이 5.1%, 아동복지전공은 2.2%, 청소년전공은 7.1%, 가족복지전공은 3.3%로 같은 학부의 다른 전공들에 비해 매우 낮은 상황이라고 밝혔다.
이에 청소년학과의 한 학생은 “단지 기업논리에 따라 전공을 폐지하는 것은 정말 부끄러운 행동”이라며 “전공 학생들에게는 뿌리가 없어지는 중요한 문제인데 학생들과 협의도 없이 전공 폐지를 결정하는 것은 말이 되지 않는다”고 반발했다.
인문대 강정헌 학생회장도 “대학의 전공 존폐 여부에서 기업논리가 적용되는 것은 이해할 수 없다”고 비난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