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구점주들, “대기업 문구 진출 중단하라”

“대형마트 품목제한 지지…중소기업적합업종 포함해달라”

학교 앞 문구점 주인들이 대기업의 문구 유통업 진출 시도 중단과 중소기업적합업종을 포함하라며 촉구하고 나섰다.

경제민주화국민운동본부와 전국학습준비물생산유통인협회는 8일 보도자료를 통해 “전국의 문구 생산·유통인들의 눈물과 생존권 호소가 계속되고 있다”며 “대기업 문구판매 진출 저지와 학교 앞 중소문구생산·유통인들에게 학습준비물 우선권 부여, 중소기업적합업종 품목에 포함 시켜 달라”고 촉구했다.

이들은 “작은 것들이 살아야 지속 가능한 마을 경제가 가능 할 것이다. 작은 경제들이 잘 되어야 내수도 더욱 활성화되고 결국 국민경제의 균형적 발전도 가능할 것”이라며 “‘풀뿌리 경제’에 활력을 주는 것이 바로 경제민주화의 진정한 목표라 할 것이다”고 밝혔다.

ⓒMBC 캡처
ⓒMBC 캡처

이들은 서울시가 발표한 대형마트와 SSM의 판매조정가능 품목 51개 권고 조치를 지지한다며 문구 품목 가운데 영세한 문방구점들이 보호 받을 수 있도록 학용 문구 부분에 한해서라도 중소기업 적합업종 선정이 빨리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곧 협동조합을 결성해 동반성장위원회에 ‘학용 문구 및 학습준비물’ 분야를 중소기업 적합업종으로 신청 할 계획이다. 이미 지난해 ‘문구 소매업’이 신청됐으나 모든 문구류의 판매를 제한시키는 것이라며 동반성장위원회가 선정에서 제외 한 바 있다.

문구점 상인들은 식품의약품안전처의 문구점 식품판매 금지 조치에 대해서도 강한 반발을 보였다. 식약처는 지난달 21일 대통령 업무보고에서 학교 앞 문구점의 식품판매 금지 방안을 발표한 바 있다.

문구점들의 문구 판매량 급감으로 아이들의 기호식품이 매출의 상당부분을 차지하고 있기에 식품 판매마저 중단할 경우 지금보다 더 어려워 질 것이라는 게 이들의 주장이다.

또한, 현재 학습준비물협회는 서울시와 서울시 교육청과 함께 영세한 학교 인근 문방구들 보호를 위해 학습준비물 지원제도의 보안을 연구하고 있다. 김형태 교육위원의 제안으로 지난 1월 학부모, 교사들과 함께 공개 토론회를 갖는 등 연구용역 등의 방법으로 문제점 해결할 계획이다.

서울시는 학습준비물 예산을 집행하면서 500만원 이하의 금액에 한해서는 학교 인근 문방구와 계약할 것을 권고했고, 서울시 교육청도 소액의 경우 학교 인근 문방구와 계약할 것을 권고했으나 이는 강제력이 없는 단순 권고 사항에 그쳐 제대로 시행되지 있지 않은 상황이다.

이들은 학교의 취지와 교육복지 확대는 지지한다고 거듭 강조하며, 학교에서 지역의 문구점주들에게 보다 많은 우선권을 주고 대기업이 아닌 지역의 문구점에서 관련 제품을 구입을 강제하는 정책도 시행해야 교육복지 확대와 지역 경제의 활성화라는 좋은 정책이 공존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와관련, 전국학습준비물생산·유통인협회 이성원 사무국장은 9일 ‘go발뉴스’에 “4월 중으로 대규모 집회를 가질 예정이다. 사실 이것도 영세한 자영업자들이다 보니 하루 가게를 비우는 것도 부담이 많이 된다”며 “당장 코앞에 닥친 게 식약처 식품판매금지조치다. 6월 입법을 예고한 상태다”라고 토로했다.

이 국장은 “문구 매출이 적어 식품 매출에 70~80%를 기대고 있는 가게들이 많다. 식약처가 6월부터 바로 실시한다고 해 걱정이다”며 “학습 준비물 문제도 크다. 일단은 서울시와 교육청에서 해결 의지가 보여 함께 상생하는 방안을 연구하기로 해 10일 문제 해결을 위해 첫 미팅을 가질 계획이다. 좋은 방안이 나오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고발뉴스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