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겨레> “흔들림없이 탄핵 추진”…<경향> “촛불 민심은 단호‧분명해”
박근혜 대통령의 3차 대국민담화에 대해 조선일보는 30일 “조기 퇴진 의사를 밝힌 사실상의 하야선언으로 볼 수 있다”고 해석했다.
조선일보는 이날자 <朴 대통령 임기 단축 제안, 실현돼야 용단이다> 사설에서 “늦기는 했지만 지금이라도 임기 단축을 결정하고 국회에 퇴진 일정을 정해달라고 제안한 것은 그나마 다행”면서 이같이 평가했다.
<조선>은 “박 대통령 말대로 대한민국이 정상 궤도에 다시 오르려면 대통령 임기를 단축하고 조기 대선을 치른 다음 새 정부가 들어서 국정을 일신하는 것 외엔 달리 길이 없다”며 “탄핵은 가급적 피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조선>은 “지난 27일 여야를 망라한 정계 원로들은 박 대통령에게 대선 일정과 시국 수습에 걸리는 시간을 감안해 내년 4월까지 물러나는 것이 좋겠다고 제언했다”며 “어제 박 대통령 담화도 큰 틀에서 이 원로들의 제안을 수용한 것으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조선>은 “그렇게 되면 늦어도 6월에는 대선을 치를 수 있다. 실제 탄핵이 이뤄진다 해도 시기상 큰 차이는 없을 것”이라며 “박 대통령 자신도 내심 내년 4월을 생각하고 있을 수 있다”고 원로와 친박 중진들의 ‘질서있는 퇴진론’에 힘을 실었다.
중앙일보도 <조기 퇴진 담화 ‘질서 있는 퇴진’ 마지막 기회다>란 제목의 사설에서 “국회가 이를 잘 활용하면 현 난국을 가장 합리적으로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인 ‘박 대통령의 질서 있는 퇴진’을 실현시킬 기회가 될 수 있다”고 <조선>과 비슷한 논조를 보였다.
<중앙>은 “정치권 원로들의 ‘질서 있는 퇴진’ 촉구 이후 친박계 중진 의원들의 ‘명예 퇴진’, 새누리당 초선 의원들의 ‘자진 퇴진’ 건의가 줄줄이 이어진 마당”이라며 “그런 점에서 진퇴 문제를 논의해 달라는 대통령의 요청을 논의조차 없이 걷어찰 필요는 없다”고 주장했다.
<중앙>은 “여야는 탄핵 추진에 앞서 국정혼란을 최소화하고 대선이 무리 없이 치러질 수 있는 시점을 박 대통령의 퇴진 일자로 합의해 청와대에 던져야 한다”고 말했다.
반면 동아일보는 <국회에 임기단축 맡긴 朴, 탄핵이 ‘질서 있는 퇴진’이다>란 제목의 사설에서 “만일 탄핵을 모면하고 ‘개헌 대통령’이 될 정략으로 임기 단축을 말한 것이라면 박 대통령은 성공했다”고 꼬집었다.
<동아>는 “헌법적 정당성을 잃은 대통령이 자리를 지키면서 여야가 개헌을 통한 임기 단축을 합의할 때까지 기다리는 것이 촛불 민의에 합당한지도 의문”이라며 “우리 헌법에는 명백하게 대통령의 퇴진 절차가 명시돼 있다, 즉각 퇴진, 아니면 탄핵”이라고 촉구했다.
한겨레신문도 <박 대통령, ‘간교한 술책’으로 퇴진 모면할 수 없다>란 제목의 사설에서 “탄핵 저지를 위한 간교한 꼼수”라며 “탄핵안을 흔들림 없이 추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겨레>는 “특히 박 대통령이 자신의 진퇴 문제를 국회의 ‘합의’와 연계시킨 것은 참으로 교활하다”며 “합의가 이뤄지려면 야당들뿐 아니라 새누리당까지도 동의해야 하는데 이는 현실적으로 거의 불가능하다. 박 대통령은 불가능한 일을 국회에 주문해 교묘히 빠져나가려 하는 셈”이라고 비판했다.
<한겨레>는 “박 대통령의 진퇴 문제에 대한 국회 차원의 논의가 필요하다면 탄핵안 통과 뒤에 해도 늦지 않다”며 “만약 국회가 박 대통령의 꼼수에 빠져 허우적거릴 경우 촛불은 더욱 거대하게 타오를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경향신문은 <또 변명에 잔꾀 부린 박 대통령, 탄핵할 이유 더 분명해졌다>란 제목의 사설에서 “임기 단축이란 말부터 해괴한 표현”이라며 “개헌론으로 야권을 분열시키고 국면을 전환하려는 술책이라고밖에 볼 수 없다”고 비판했다.
<경향>은 박 대통령이 “촛불 민심을 받아들이기는커녕 자신의 권력 기반을 계속 유지하는 데만 정신이 팔려 있다는 사실을 새삼 확인”했다며 “국회는 예정대로 탄핵을 단단히 추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경향>은 “촛불 민심은 단호하고 분명했다. 탄핵만이 시민을 승리로 이끄는 길”이라며 “엄정한 시국을 수습하는 첫 단추는 박 대통령의 직무를 속히 정지시키고 국정의 중심을 잡아가는 일”이라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