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민구 지시로 기무사‧헌병 동원 김제동 조사…예비역에 일일이 전화”

네티즌 “그 능력으로 방산‧군납비리 조사나 해라…개인정보 불법 열람?”

국방부가 방송인 김제동 씨의 ‘군대 영창 발언’의 사실관계를 확인하려 국군기무사령부와 헌병 조직인 국방부 조사본부를 동원한 것으로 드러났다.

14일 <경향신문>에 따르면, 군 관계자는 “국방장관의 지시로 기무사와 헌병 요원들이 김씨와 함께 육군 50사단에 근무했던 예비역 13명에게 일일이 전화를 걸어 확인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이 과정에서 당사자들은 기무사와 헌병 요원들이 갑작스럽게 겹치기 전화를 걸어와 반발한 사례도 있었던 것으로 전해졌다고 <경향>은 보도했다.

한민구 국방부 장관이 14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국방위원회 국정감사에 참석해 국방부 관계자와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사진제공=뉴시스>
한민구 국방부 장관이 14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국방위원회 국정감사에 참석해 국방부 관계자와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사진제공=뉴시스>

이날 한민구 국방부 장관은 국회 국방위 종합감사에서 “(김제동씨가)영창 간 사실이 확인이 안됐다”며 “(김씨의 주장이 사실이) 아닌 것으로 지금까지 확인한 결과 그렇게 보인다”고 말했다.

김씨의 군 시절 동료들이 정확한 증언을 했을지 여부와 이들의 기억에 의존한 확인이 100% 정확한지도 확신할 수 없는 상황에서 한 장관은 국감장에서 사실상 김제동 씨의 ‘영창 발언’이 사실 아니라고 발언한 셈.

더불어민주당 이철희 의원도 이 점을 지적했다. 이 의원은 “기록이 남아 있지 않다고 발표할 수는 있다. 하지만 사실이 아니라고 할 수는 없는 것”이라며 “나도 군 생활할 때 1년 6개월간 헌병대에 끌려가서 일했다. 자료에 안 남았다. 자료에 남아 있지 않다고 그게 사실이 아닌 것이 되느냐”고 꼬집었다.

네티즌들도 “20년 전 일인데 기억력들이 대단히 좋은가보네”, “그럴 능력으로 군납비리, 방산비리를 조사해서 없애는 게 국방장관이 할 일 아닌가?”, “고생한다. 웃자고 한 1년 전 이야기를 들춰서 이기지도 못하는 진실을 덮으려고”, “우리 군에 대한 신뢰는 첨단무기보다 중요해서, 비리로 갖은 첨단무기를 대신하고 무기는 돈하고 바꿔먹나?”,

“13명에게 협박질 했겠지”, “신상정보 알아낸 거 불법 아니냐”, “무엇이 중요하고 국감기간 동안 무엇을 해야 국민들에게 신뢰 받을 것인가를 생각해라”, “불법으로 개인정보 열람한 것임. 본인 동의가 있어야 한다더니”, “국방비리 조사할 시간에 뭐하는 짓이냐”, “나 같으면 고발했어. 국회의원이 민간인 협박하고 있다고”라는 등 비난을 쏟아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고발뉴스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