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 ‘정신질환자 묻지마 범죄’ 결론…SNS “6명 보내고 여성에게만 발병?”

‘언니네이발관’ 이석원 “무엇이 남자 무시는 참아도 여자 무시는 못참게 했을까요”

22일 오전 서울 서초경찰서에서 프로파일러 이상경 경사가 '강남 묻지마 살인사건' 피의자 김모(34)씨의 심리분석 결과 브리핑을 하고 있다.경찰은 지난 19일과 20일 2차례에 걸쳐 김씨에 대한 심리면담을 진행했고 분석결과 이번 사건은 '정신질환에 의한 묻지마 범죄' 유형에 부합한다고 발표했다. <사진제공=뉴시스>
22일 오전 서울 서초경찰서에서 프로파일러 이상경 경사가 '강남 묻지마 살인사건' 피의자 김모(34)씨의 심리분석 결과 브리핑을 하고 있다.경찰은 지난 19일과 20일 2차례에 걸쳐 김씨에 대한 심리면담을 진행했고 분석결과 이번 사건은 '정신질환에 의한 묻지마 범죄' 유형에 부합한다고 발표했다. <사진제공=뉴시스>

경찰이 서울 강남역 인근 건물 화장실에서 벌어진 여성 살인사건을 ‘정신질환자의 묻지마 범죄’라고 결론내렸다.

22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서울지방경찰청은 프로파일러를 투입해 피의자 김모(34)씨를 19, 20일 두 차례 심리면담해 종합 분석한 결과 전형적인 피해망상 조현병(정신분열증)에 의한 묻지마 범죄 유형에 부합했다고 밝혔다.

김씨는 2003∼2007년 “누군가 나를 욕하는 것이 들린다”고 자주 호소했으며 이런 증상은 2년 전부터는 ‘여성들이 자신을 견제하고 괴롭힌다’는 피해망상으로 변화됐다.

또 경찰은 김씨가 서빙 일을 하던 식당에서 지난 5일 위생상태가 불결하다는 지적을 받고 이틀 뒤 주방 보조로 옮겼는데 이를 여성 음해 때문으로 생각, 이번 범행 촉발의 요인이 됐다고 분석했다.

경찰이 공개한 CCTV에 따르면 김씨는 17일 0시 33분 주점 건물 남녀공용 화장실에 들어가 있었다. 남성칸 좌변기에 앉아 기다리던 김씨는 6명의 남성이 화장실을 이용한 이후 오전 1시 7분 화장실에 들어온 첫 여성인 A(23)씨를 흉기로 살해했다.

경찰의 ‘정신질환자의 묻지마 살인’ 결론 발표에 대해 SNS에서는 “‘묻지마’ 범죄가 (상대가 힘든)남자는 걸러내고 (어린)여자를 대상으로 하는 범죄에요? 경찰님?”, “증오범죄를 묻지마 범죄로 결론 짓는다고 해서 사회 문제를 비가시화하지는 못할 것이라고 생각”, “예상은 했다만 쉽게 덮어질 사안이 아니다”, “‘묻지마’는 화장실에서 제일 처음 만난 사람에게 해꼬지 해야 진정한 묻지마인 거지! 남자들 5~6명은 그냥 보내고 그 다음 ‘여자’를 죽인 게 어떻게 묻지마인 거니?”, “참 신기하네. 남자앞에서는 발병이 안되고 여자 앞에서는 발병되는 정신병? 논문감인 듯” 등의 반응이 올라왔다.

이번 사건과 관련 그룹 ‘언니네 이발관’ 소속 가수 겸 작가 이석원씨는 20일 블로그에서 “피의자가 범행 후 진술한 ‘여자가 나를 무시해서’라는 발언으로 인해 한 개인의 차원을 넘어선 사회적 맥락을 갖게 됐다”며 “우리 사회에 만연해 있지만 최근에 와서야 문제의 심각성이 대두되고 있는 여성에 대한 혐오가 이런 참극을 불러온 원인은 아닐까”라고 밝혔다.

또 그는 “이 사건에서 피의자의 행위가 정신병 때문인지 아닌지는 그다지 중요한 게 아니다”며 “여자만이 아니라 남자들에게서도 수 없이 무시를 당했을 것인데 어찌하여 그는 망상에서조차 여자들에게서 받은 무시만 기억하며 여자들만을 죽이고 싶을 만큼 증오하게 되었을까요”라고 반문했다.

이씨는 “무엇이 그를 남자에게서 받는 무시는 참아도 여자에게서 받는 무시는 도저히 참을 수도 잊을 수도 없는 것으로 여기게 만들었을까요”라며 “혹 이 사회가 그에게 직‧간접적으로 그리 주입하고 가르쳤던 것은 아닐까요?”라고 고찰할 부분을 지적했다.

이어 이씨는 “저는 이번일이 여성에 대한 혐오라는 사회적 맥락과 무관하다고 보기 어려우며, 최소한 그러한 의심을 가지고 이번 일에 접근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또 남자들의 ‘잠재적 범죄자 취급’ 논란에 대해 이 작가는 “5월 19일자 KBS 뉴스에 따르면 우리나라에서 벌어지는 살인, 강도, 성폭행 등 4대 강력범죄의 피해자 10명 가운데 무려 9명이 여성이라고 한다”며 “이러한 상황에서 남자들이 설령 잠재적 범죄자가 된다한들, 과연 그것이 억울해 하고만 있을 일일까요?”라고 반문했다.

이씨는 “이 상황을 같이 고쳐 나가야 하지 않을까요?”라며 “그렇게 했을 때라야 여자들도 안전하게 세상을 누릴 권리를 가지고, 남자들도 쓸데 없이 오해를 사는 일도 없게 되지 않을까요?”라고 개선에 동참할 것을 촉구했다. 

 

<사진출처=트위터 이용자 ‘@natio*******’>
<사진출처=트위터 이용자 ‘@natio*******’>

 

 

 

 

관련기사
저작권자 © 고발뉴스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