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노조 “만시지탄…방송 정상화, 해직자들 복귀해야”
MBC 최대 주주인 방송문화진흥회가 26일 임시이사회를 열어 김재철 사장의 해임안을 처리하기로 했다.
방문진은 지난 23일 오후 긴급 임시 이사회를 열어 김 사장이 공영방송 거버넌스 체제에 대한 무시, MBC의 사유화 시도, MBC의 관리·감독 권한을 지닌 방문진 체제에 대한 거부 등을 들어 해임안 상정을 의결했다.
<한겨레>는 25일 “앞서 22일 문화방송이 방문진과의 사전협의 없이 지역사 사장을 비롯한 20여명의 임원 인사를 내정하고 이를 사내 인트라넷에 공지한 것이 해임안 상정 의결의 결정적 요인이 됐다”고 보도했다.
방문진은 현재 MBC 임원 선임을 ‘사전협의 사항’으로 규정하고 있다. 긴급 이사회에 참석한 한 이사는 <한겨레>에 “MBC 쪽이 방문진과 협의 없이 임원 인사를 내정한 것을 인정하지 않는다는데 의견이 모였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언론노동조합 강성남 위원장은 ‘go발뉴스’에 “사필귀정이다. 좀 더 일찍 방송 정상화를 위해 제일 처음 했어야 하는 일인데 너무 늦은 감이 있다”며 “지금이라도 (해임을) 시작으로 조속히 공영방송이 정상화 되고 해직자들이 복귀해서 정상적인 상태로 돌아가야 된다”고 밝혔다.
언론개혁시민연대 김동찬 기획국장도 ‘go발뉴스’에 “당연히 (해임)처리됐어야 할 인물. 언론단체들 뿐만 아니라 국민들도, 새누리당 진영도 도덕적으로나 경영능력으로나 문제가 많다는 건 이미 인정 된 사실”이라며 “다시 해임안이 상정 된 건 기대를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김 사장의 해임안의 상정은 이번이 네 번째다. 그 동안은 모두 야당 추천 이사들이 제안했지만 여야 추천 이사들이 공동으로 제안했다는 점에서 이번은 다르다. 해임이 사실상 확실하다고 보이지만 의구심을 아직 버릴 수는 없다는 지적도 잇따른다.
김동찬 국장은 “다만 네 번째 상정인데 앞서 실패 사례들이 있고 지난번 경우 방문진에 김무성 전 선대 총괄본부장이 전화를 해 무산된 의혹이 있지 않았나”며 “이번엔 해임될 가능성이 높아서 기대는 되지만 방문진 외부의 정치적 압력에 의해 좌절될 수 있기에 걱정 속에서 지켜보고 있다”고 밝혔다.
<한겨레>는 이날 사설에서 “여당 쪽 이사들이 그동안 보여준 권력 지향적 행태 때문에 해임안이 처리될 때까지 무슨 변화가 어떻게 일어날지 모른다는 의구심도 가시지 않고 있다”며 “하지만 해임안을 주도한 여당 쪽 이사들이 스스로 태도를 번복하기에는 정황상이나 논리적으로 쉽지 않다”고 논평했다.
이어 “태도를 바꾼다면 바로 정치 개입 논란과 함께 방송 민주화를 원하는 여론의 거센 비판에 직면하게 될 것이다”라며 “청와대나 정치권도 이런 점을 고려해 자중자애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한, “‘김재철 파동’ 5년의 가장 큰 교훈은 KBS, MBC 등 공영방송이 더 이상 정치권에 휘둘려서는 안 된다는 것을 적나라하게 보여준 것이다”라며 “김재철 해임 이후 가장 중요한 과제는 누가 후임 사장이 될 것인가가 아니라 정치로부터 독립한 공영방송 지배구조를 어떻게 만들어내느냐가 돼야 한다”고 밝혔다.
한편, 26일 열리는 임시이사회의 표결에서 9명의 이사 중 과반수인 5명 이상이 찬성해야 김 사장이 해임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