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극적 대응이 문제.. 성폭력 문제 해결 위한 공동행동 필요
17일 서울대 총학생회 직무대행인 단과대 학생회장 연석회의와 학내 언론지 ‘서울대 저널’은 최근 학내 성폭력 실태를 설문조사한 결과 응답자 200명 중 33명(16.5%)가 ‘학내에서 성폭력 및 성과 관련된 불쾌한 일을 경험한 적이 있다’고 답했다.
성폭력을 당하거나 성적 불쾌감을 느낀 응답자 33명을 대상으로 자신이 경험한 성폭력 종류를 묻자, ‘원하지 않는 육체적 스킨십’(57.6%), ‘성적인 농담 및 음담패설’(57.6%), ‘외모에 대한 성적인 비유나 평가’(45.5%) 순이다.
가해자의 지위는 선배가 54.5%로 가장 많았고, 동기(51.5%), 교수(27.3%) 등 순으로 나타났다. 일상에서 자주 마주치는 관계 속에서 성폭력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고, 특히 위계관계를 이용한 성폭력이 대부분이다.
다수 학생들은 성폭력을 경험해도 그냥 넘어가거나 소극적으로 대응한 것으로 확인됐다. 성폭력을 경험했을 때 대처방안에 대한 질문에 66.7%가 ‘별다른 대응을 하지 않았다’고 답했다. ‘가해자에게 완곡한 표현으로 문제를 제기했다’는 30.3%, ‘자신을 자책했다’는 응답은 24.2%에 달했다.
학생들에게 적극적인 대응을 하지 않는 이유를 묻자, 응답자 48.4%가 ‘문제가 해결되지 않을 것 같아서’라고 답했다. ‘이상한 소문이 돌 것 같아서’라는 답변은 45.2%에 달했다.
앞서 서울대는 지난해 수리과학부 강 모 교수가 여학생들을 상습 성추행한 혐의로 구속된 데 이어 경영대 등에서도 교수의 성희롱 의혹이 제기되는 등 성범죄 사건으로 몸살을 앓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