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 최고위원은 이날 오전 BBS 불교방송 <양창욱의 아침저널>에 출연해 이 같이 해명했다. 그는 “문재인 대표가 두 전직 대통령 묘소를 참배하자, 유신정권 당시 고문과 피해를 당한 원로 고문들이 전화를 주셨고, 강원도에 계신 한 고문이 그렇게 울분을 토해 그것을 인용해 전달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 위원은 “거기에 내 생각을 얹지도 않았고, 이 정도로 당 정체성을 지켰던 분들의 울분과 분노가 있으니, 문 대표가 이런 것을 알아주셨으면 하는 차원에서 이야기를 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문제가 된 ‘히틀러’ 언급 발언은 지난 10일 YTN 라디오 <신율의 출발 새아침>에서 나왔다. 당시 진행자는 정 의원에게 이승만, 박정희 두 전직 대통령의 묘역을 참배하지 않는 이유에 대해 물었다.
정 의원은 “민주주의와 국민의 행복을 탄압하는 이런 상황에서 (두 전직 대통령의 묘소를) 참배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며 “(문 대표가) 첫 취임행보로 두 전직 대통령 묘소에 가는 것은 적절치 않은 행동이라 이를 말렸는데도 (문 대표가) 갔다”고 답했다.
정 위원은 이어 독일의 유대인 학살 사과와 일본의 야스쿠니 신차 참배를 예로 들며 주장을 이어나갔다. 그는 “독일이 유대인 학살에 대해 사과했다고 유대인이 그 학살현장이나 히틀러 묘소에 가서 참배 할 수 있겠느냐”며 “아직 그 정도의 사과도 하지 않은 상태에서 (문 대표의) 행보는 적절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정 위원은 이날 논란이 된 인터뷰에서 자신은 강원도 고문의 발언을 전했을 뿐, 직접 전직 대통령을 히틀러로 지칭하지 않았다고 반박했다.
정 위원은 또 문 대표가 취임 첫날 두 전직 대통령의 묘역에 참배한 것에 대한 비판적인 태도를 버리지 않았다. 그는 “노골적인 비판 발언은 맞는 것 같다”면서도 “사과할 생각은 없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