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경환, 대기업 편향 정책 고수.. “증세 대신 복지 구조조정”

“법인세 인상, 기업경쟁력 약화?.. 증세 논의할 타이밍 아냐”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복지지출에 대한 구조조정을 내세우며 ‘증세 없는 복지’ 기조를 그대로 유지할 입장을 강조했다.

<경향신문>에 따르면 5일 기재부는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업무보고에서 복지 전달체계를 개선하고 유사·중복 사업에 대한 예산 지원을 막기 위해 내년까지 총 600개의 유사·중복 사업을 통폐합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 2012년 2조8000억 원이던 세수 결손 규모가 2013년 8조5000억 원, 지난해에는 11조1000억 원으로 불어났기 때문이다. 올해 역시 예산상의 국세 수입보다 세금이 3조원 이상 덜 걷힐 것으로 전망되면서 세수 결손이 사상 처음으로 4년 연속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더욱이 그 동안 정부는 법인세를 깎아 투자를 유도하려고 했지만 대기업들은 여기에 호응하지 않았다. 2009~2013년 20대 기업의 사내유보금은 322조원에서 589조원으로 83% 폭증한 반면 실물투자액은 33조원에서 9조원으로 70% 이상 줄었다.

상황이 이런데도 정부는 증세 대신 ‘복지 구조조정’을 통해 재정건전성 악화 개선을 추구하며 여전히 대기업 편향 정책을 버리지 못하고 있다.

최 부총리는 “큰 틀에서는 복지공약을 지켜나가고 있다. 다만 세수 부족으로 인한 재정건전성 악화를 우려하는 지적이 나오기 때문에 그 점에 대해 머리를 맞대고 지혜를 모아야 한다”며 “공약을 조금도 안 고치고 그대로 하는 정부가 어디 있느냐”고 말했다.

그러면서 야당과 여당 일부의 증세 요구에 대해 반대 입장을 재확인했다. 최 부총리는 “증세가 수요 제약으로 경제를 일시적으로 위축시키는 효과가 있어 디플레이션 방지라는 측면에서 마이너스 효과가 있을 것”이라며 “현재 경제 상황을 고려하면 증세를 논의할 타이밍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최 부총리는 4일에도 “법인세는 전년 영업실적에 따른 것인데 삼성전자, 현대차를 비롯해 주요 대기업의 실적이 좋지 않다. 법인세는 국제 경쟁을 감안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는 법인세 인상을 반대하는 재계의 논리를 그대로 따른 것이다.

ⓒ KBS
ⓒ KBS

새누리당 역시 마찬가지다. 김무성 대표는 5일 한국경영자총협회가 개최한 세미나에 참석한 자리에서 “복지과잉으로 가면 국민이 나태해지고, 나태가 만연하면 부정부패가 필연적으로 따라온다”며 증세를 통한 복지지출 확대 반대 입장을 밝혔다.

김 대표는 6일 주요당직자회의에서도 “복지 예산이 잘 쓰이는지 전면적으로 점검해 부조리나 비효율적으로 쓰이는 곳을 잘 찾아 조정하고, 더 나은 대안이 없을 때 납세자인 국민에게 물어본 다음 마지막 수단인 증세를 생각해볼 수 있는 것”이라며 최 부총리의 ‘복지 구조조정’ 목소리에 힘을 보탰다. 

저작권자 © 고발뉴스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