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강조사, 객관적이고 중립적.. 후속 사업해야?” 강변
친이계 새누리당 조해진 의원이 4대강 사업과 관련해 “22조원의 몇 십 배 효과를 볼 수 있기 때문에 경제성은 충분히 있다”고 강변 “본류에 있는 물을 지류 지천으로 보낼 수 있는 시설을 설치해야 한다”고 4대강 후속사업 추진을 주장했다.
조 의원은 26일 <CBS 라디오> ‘박재홍의 뉴스쇼’와 가진 인터뷰에서 “4대강사업 시작할 때 그것까지 계획이 제시가 되었는데 지난 정부가 물러나고 난 뒤 후속적으로 지류 지천에 대한 정비사업이 전혀 진행이 안 되고 있기 때문에 지류 지천은 여전히 홍수 문제 또 가뭄 문제로부터 완전히 자유롭지 못한 상태”라며 이같이 말했다.
또한 4대강 사업의 경제성 논란에 대해서는 “홍수예방과 가뭄해소를 위해 김대중 정부 때 40조원, 노무현 정부 때 그 2배인 80조 원을 투입하기로 했다”며 “이명박 정부 때는 22조, 김대중 정부 때의 절반, 노무현 정부 때 4분의 1의 예산을 가지고 이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해마다 그 22조 투입에 대한 경제적 성과는 한 해에 그치는 게 아니지 않냐”며 “해마다 혜택을 보고 있기 때문에 그게 5년, 10년, 50년, 100년을 누적하면 22조원의 몇 십 배를 효과 볼 수 있기 때문에 경제성도 충분하다”고 주장했다.
특히 지난 23일 4대강조사평가위원회 조사결과에 대해서 조 의원은 “비교적 객관적이고 중립적으로 조사하고 평가를 했다”며 “조사평가위가 당초 사업 목적이었던 홍수예방하고 가뭄을 해소하는 데 효과가 크고, 또 수질이 더 나아졌고, 특히 보의 안정성에 문제가 없다고 하는 큰 부분의 이슈에 대해서 입장을 분명하게 정리해 줘서 의미가 크다”고 만족감을 나타냈다.
이에 진행자가 균열과 누수현상을 예로 들며 보의 안정성에 우려가 있다고 지적하자 “공학적으로 보면 콘크리트라고 해서 100% 방수되는 게 아니”라며 “기본적으로 보의 안정성과 관계없는 사안”이라고 일축했다.
이어 “이를 가지고 지난 수년 전부터 야당이나 일부 단체에서 그것 때문에 보가 무너진다, 보를 해체해야 한다는 주장을 했었는데 그건 과장된 것이다, 선동이다 하는 부분을 (4대강조사평가위원회가) 바로 잡아줬다는 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조 의원은 4대강 국정조사에 대해서도 “더 이상 소모적인 논쟁은 그만했으면 좋겠다”며 “4대강이 완공된 이후에도 또 수많은 감사와 조사가 이루어졌다. 이런 상태에서 더 이상 끝없는 논란으로 국력을 낭비할 수 없다”며 반대했다.
또 “4대강 사업과 아무 이해관계가 없는 전문가들도, 찬성도 반대도 아닌 그런 중립적인 전문가들로 조사위를 구성해서 이번에는 확실하게 끝내자 해서 1년 4개월이라는 긴 기간 동안 무려 240 몇 회나 현장조사를 해서 내린 결론”이라며 “그것도 안 받아들이고 자기들이 원하는 결론이 나올 때까지 계속 조사하자고 하는 억지는 더 이상 안 된다”고 강변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