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재 ‘진보당 해산’ 결정에 朴지지율 소폭 반등

지지율 상승과 함께 부정평가도 0.2%p↑.. 취임 후 최고치 경신

정윤회 문건 사태 등으로 콘크리트 지지층마저 무너지며 하락세를 거듭하던 박근혜 대통령의 지지율이 헌법재판소의 통합진보당 정당 해산 결정에 따라 소폭 반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여론조사전문기관 <리얼미터>가 지난 15일부터 19일까지 5일간 전국 19세 이상 유권자 2500명을 대상으로 박 대통령에 대한 국정수행 지지도를 조사한 결과 전주 대비 긍정평가가가 전주보다 0.2%포인트 오른 39.9%를 기록하며 하락세가 멈췄다.

하지만 부정평가도 0.2%포인트 오른 52.3%를 기록해 취임 후 최고치를 다시 경신했다.

구체적으로 보면 박 대통령의 지지율은 조사기간 첫날인 15일 39.8%에서 17일 37.8%로 최저치를 기록했다. 이후 진보당 해산 여부 결정을 하루 앞둔 18일 38.3%로 반등했고, 헌재의 해산 결정이 내려진 19일 42.6%로 급상승했다.

특히 헌재의 진보당 해산 결정은 대구·경북과 보수층, 50대 이상과 30대를 중심으로 박 대통령 지지층을 재결집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박 대통령의 지지율을 헌재의 선고가 내려진 19일과 그 영향을 받지 않은 17일 일간조사 간에 비교하면, 대구·경북은 46.5%에서 63.9%로 17.4%포인트, 보수층은 60.6%에서 72.1%로 11.5%포인트, 50대는 43.3%에서 54.3%로 11.0%포인트 상승했다.

ⓒ 리얼미터
ⓒ 리얼미터

그 외 지역인 경기·인천에서 15.1%포인트(26.9%→42.0%), 30대에서 9.3%포인트(18.4%→27.7%), 60대에서 6.6%포인트(64.9%→71.5%), 중도층에서 4.5%포인트(30.2%→34.7%) 오른 것을 비롯해 대전·충청과 부산·경남, 20대와 진보층을 제외하고 거의 모든 계층에서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한편 여야 차기 대선주자 지지도에서는 박원순 서울시장이 전주보다 2.3%포인트 오른 17.8%를 기록해 1위를 유지했다. 2위 문재인 새정치연합 의원은 0.6%포인트 하락해 14.8%를 기록했다.

<리얼미터>는 문 의원의 지지도가 소폭 하락한 것과 관련해 “진보당 해산에 대한 문 의원의 공개 반대 의사가 지지율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이번 집계는 전화면접(CATI)과 자동응답전화(ARS) 방식으로 휴대전화(50%)와 유선전화(50%) 병행 임의번호걸기(RDD) 방법으로 조사됐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2.0%p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고발뉴스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