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건넨 경찰관 “박지만 문건 보다 민감한 내용 有.. 청와대 개판”
정호성 청와대 제1부속비서관이 <세계일보>의 ‘비선실세 국정개입’ 보도가 나오기 전 문건 유출 사실을 확인하고서도 이를 묵살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박범계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은 15일 국회 본회의에서 열린 긴급현안질의에서 ‘BH(청와대) 문서 도난 후 세계일보 유출 관련 동향’이라는 경위서를 공개했다. 박 의원은 “세계일보가 3차례에 걸쳐 청와대 문서를 입수했는데, 이는 그 중 2번째로 소위 ‘박지만 문건’을 입수한 직후 유출 경위에 대한 동향 보고서”라고 밝혔다.
문건에 따르면 세계일보는 지난 3월 최초로 청와대 문건을 입수했고, 이어 5월 8일 박지만 EG 회장의 동향 등을 적은 128쪽 분량의 제2차 문건을 입수했다.
제보자는 이명박 정부서 청와대 민정수석실에 재직한 인물로, ‘대서특필’을 목적으로 경찰청 정보분실 경찰관에게 제보한 것으로 문건에서 드러났다.
경찰관은 “BH 직원 비위 관련 보도인데 보도해 줄 수 있느냐”며 “내가 활용할 수는 없고 나에게 준 사람이 대서특필을 원한다”고 세계일보 기자에게 말했고, 이에 기자가 “보도하겠다”고 답하자 1차로 문건을 전송했다.
<세계일보>는 이어 2차로 5월 8일 문서를 입수했다. 박 의원은 “<세계일보>는 이 문건을 유출 경위서 작성자에게 전달했고, 유출 경위서에는 경찰 정보원과 제보받은 사람의 대화 녹취록도 첨부됐다”고 말했다.
이 유출경위서에는 정보관이 <세계일보>에 2차 자료를 넘겨주며 “오늘 것 보다 더 민감한 것도 가지고 있다. 자료를 보니 BH 개판이더라”며 추가 자료 제공을 암시하는 내용도 포함됐다.
유출경위서 작성자는 “<세계일보>측에서 2차 입수한 문건이 보도될 경우 현 정부에 대한 비난여론이 청와대로 집중돼 국민신뢰도 저하를 초래할 가능성이 많으며, ‘제3차, 4차 세계일보측으로 추가적인 자료제공’이 지속될 것으로 판단된다”며 추가 자료 유출을 막아야 한다고 지시했다.
박 의원은 “이 유출 경위서에는 '정윤회 문건'과 같이 나라를 평지풍파 일으킬 문건이 유출될 예정이니 청와대가 회수 조치를 해서 추가 보도를 막으라는 대책이 담겼지만, 정호성 비서관과 청와대 민정실에 의해 묵살됐다”며 “박지만 문건이 유출돼 <세계일보>가 보도하기 직전에 작성된 것으로, '정윤회 문건' 보도도 예정됐는데 문고리 권력이 대통령에 보고를 안 한 것”이라고 비판했다.
박 의원은 “유출 경위서를 조금이라도 믿고 대통령에 보고 드렸다면 정윤회 문건은 유출되지 않을 수 있었다”고 지적했다.
- 김진태 “野, 싸울 상대 정윤회 아닌 이석기‧신은미?”
- 국민 63.7% “정윤회 문건 검찰 조사 신뢰 못해”
- ‘靑 문건’ 유출 혐의 최모 경위 자살.. 유가족 기자회견 예정
- ‘정윤회 후폭풍’.. 朴 대통령 지지율 하락세
- 새정치 “비선실세 수사, 靑 가이드라인대로 흘러가”
- 법원, ‘靑 문건 유출 혐의’ 경찰 2명 영장 기각
- “김기춘, 정윤회 보고서 직접 문서로 받아봤다”
- 이재오 “박근혜정권, 문고리 3인방과 정윤회가 실세”
- 박근혜 대통령 “찌라시에 나라 전체 흔들려?”
- “朴, ‘정윤회 게이트’ 해명 보다 수사 가이드라인 제시”
- 靑‧여당, ‘정윤회 국정농단’→‘문건 유출 사건’ 본질 호도
- 박모 경정 “靑 문건 유출 안했다” <조선>보도 반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