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 경제민주화 열망으로 당선 됐지만 재벌 영향력 못 막아”
<WSJ>은 4일 ‘한국의 혼란스러운 성장 계획’이라는 제목의 칼럼을 통해 “최 부총리가 한국이 일본과 같은 길을 가지 않기를 바란다고 말했지만 일본과 같은 실수를 범하고 있다”며 최 부총리의 경제정책인 ‘초이노믹스’를 거론했다.
신문은 ‘초이노믹스’의 문제점과 방향을 조목조목 짚었다. 우선 최 부총리가 지난 7월 취임 직후 국내 부동산활성화를 위해 시중 은행의 주택담보대출비율(LTV)과 총부채상황비율(DTI) 규제를 완화시킨 점을 지적했다.
<WSJ>은 “한국 가구의 부채 수준은 연간 가처분소득의 1.6배로 이미 차입투자가 최대한도에 이른 상태며, 이자율이 오를 경우, 심판을 받게 될 것”이라고 전했다.
앞서 국내 전문가들도 최 부총리의 정책이 부동산 경기 회복에 별다른 영향력을 발휘하지 못했다고 평가했다. 경기 부양 기대감에 들썩이던 강남권 재건축 아파트 가격은 최 부총리의 취임 이전 수준으로 떨어졌고, 주택담보대출액은 더 늘어났다.
이어 “2002년 한국의 국내 총생산(GDP)에서 국내 30대 그룹이 차지하는 비중이 53%에서 2012년 82%까지 증가한데 반해 같은 기간 경제성장률은 7.43%에서 2.29%로 떨어졌다”며 “한국의 재벌이 더 이상 국가의 성장엔진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또한 “박근혜 대통령과 최 부총리가 초이노믹스를 통해 한국 경제의 장기성장 가능성이 커질 것이라고 주장하지만, 지금까지 한국을 세계 경기 둔화에 취약하게 만든 정부의 개입과 다를바 없다"고 평가했다.
<WSJ>은 “한국이 일본의 함정(Japan trap)에서 벗어나는 길은 규제를 완화해 국내 시장에서 경쟁을 촉진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 朴 대통령 “지금이 경제 회생 마지막 골든타임”
- 최경환, MB정부 ‘해외자원개발 무리수’ 책임론 부상
- “산피아-행피아-새피아의 해외자원 사기”
- 최경환 “서민 감세 40조, 고소득층 증세 15조?”
- 여당 내서도 ‘최경환 노믹스’ 우려.. “무책임하고 위험”
- 野 “정부, 누리과정 국민기만” 황우여 긴급출석 요구
- 정부, 예산 배정 없이 “누리과정 예정대로 추진”
- 국민 10명 중 7명 “비리 재벌총수 사면 반대”
- 국민 10명 중 7명, ‘최경환 노믹스’.. 글쎄?
- [SNS] 최경환 “기업인 사면.. 긍정 여론이 더 많아”
- 최경환 경제부총리, 또 ‘유전무죄 합법화’ 주장?
- 최경환 ‘재벌총수 사면’ 공감 발언에 비판론 고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