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부 데모’, 식민지배 정당화 발언.. “적십자 인도주의 정신에 위배”
27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국정감사에서는 김성주 대한적십자사 총재를 둘러싼 ‘국감 도피’, ‘낙하산 인사’, ‘위안부 망언’ 등 논란이 주된 이슈로 떠올랐다. 김 총재는 이와 관련해 연신 “죄송하다”며 진땀을 빼는 모습을 보였다.
김 총재는 이날 증인선서에 앞서 국감 도피 논란과 관련해 “저의 불찰에 대해 국민과 의원 여러분께 정말 사과드린다. 재발하지 않도록 약속 드리겠다”며 고개 숙여 사과했다. 그러나 여야의원들은 한목소리로 “국감 불출석은 국민의 대표기관인 국회를 무시한 태도”라고 질타했다.
새정치민주연합 최동익 의원은 “정치학을 전공했고 대통령후보 선대위원장까지 하셨던 분이 공직에 대해 몰라서 이런 실수를 했다는 것은 핑계치고 너무 유치하다”고 지적했고, 같은 당 김용익 의원은 “낙하산 인사, 적십자 회비 미납 이런 것 때문에 국회에서 공격당할 것이 두려워 안 나오셨냐”고 질타했다.
새누리당 박윤옥 의원은 “국회 권위에 손상을 입혔고 이 점은 굉장히 유감스럽게 생각한다”며 “적십자사는 공공기관이다. 여야 떠나서 국민의 뜻을 대변하는 국회의 요쳥을 공공기관장이 거부한 것은 적절하지 않다”며 “공인이 된 지 얼마 되지 않아 잘 모르셨다 하는데 총재로 임명된 순간 생각 자체를 바꿔야 한다”고 지적했다.
새누리당 김기선 의원은 “피감기관의 책임자로서 국회에 나와 국감을 성실히 받고 국민들에게 취임인사도 드리고 적십자사를 어떻게 이끌어나갈지에 대해서 성실하게 보고 드리는 것이 주어진 책무”라며 “물의를 일으킨 데 대해서 사과는 했지만 다시 한 번 큰 유감으로 생각한다”고 질타했다.
이에 김 총재는 “공직이 처음이라 잘 몰랐다”, “국회와 국민들께 사과 드린다”, “다시는 이런 일이 없도록 하겠다”며 거듭 사과했다.
김 총재의 과거 발언도 도마에 올랐다. 김 총재는 앞서 “남북 분단과 북한의 빈곤이 하나님의 뜻”, “(일본 식민지배는) 일본 사람이 나쁜 게 아니라 우리의 문제였다”, “외국 신문 읽어보면 북핵 문제, 어떤 공무원이 몇천억 해먹었다, 대통령이 5천억 해먹고 붙잡혀 들어갔다, 아니면 위안부 할머니들이 일본 대사관 앞에서 데모한다.. 이런 부정적인 것만 난다”고 하는 등 일본의 식민지배를 옹호하고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의 시위를 부정적으로 묘사해 논란이 된 바 있다.
새정치민주연합 이목희 의원은 “공인은 말을 조심해야 한다. 생각나는 대로 말하는 게 아니다”며 “위안부 할머니들이 일본 대사관 앞에서 데모를 한다고 했는데 이렇게 말해도 되느냐”고 다그쳤다.
이에 김 총재는 “저는 외국에 비춰진 대한민국이 ‘어글리 코리아’라는 점을 말하고 싶었던 것”이라고 대답해 “그럼 할머니들이 길거리에 나온 게 ‘어글리’라는 것이냐”는 빈축을 사기도 했다.
최동익 의원은 “(문제의 발언들이) 적십자사의 인도주의 정신과 융화가 되느냐”며 “어떤 외국신문이 대한민국 공무원이 수천억을 받아먹었다고 폄하보도를 했느냐”고 질타했다. 양승조 의원은 김 총재의 중국·인도 비하관련을 인용하며 “인도주의 정신이 몸에 베있지 않다는 것”이라며 “기본적인 인식들을 우려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이에 김 총재는 “문맥을 읽어보면 그런 발언이 아니었는데 왜곡이 된 것 같다”면서도 “당시 젊은 나이로 생각이 짧아 그렇게 발언했다”고 사과했다.
한편, 김 총재는 보은 인사 논란과 관련해서도 “보은 인사는 절대 아니다. 저는 나이도 어리고 경륜도 짧지만 21세기 적십자사 재탄생을 위해서는 제 기업경영 능력이 도움이 된다고 생각해 수락했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