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법 민생법안 별개처리 ‘옹호’.. 대통령 역할 논조 엇갈려
“‘세월호특별법과 별개로 통과시켜야 한다고 생각하는가’란 질문에 ‘통과시켜야 한다’는 의견이 78.5%였다.” <조선일보>
“3명 중 2명꼴(67.7%)로 ‘세월호특별법과 민생법안 별개로 처리해야한다’고 답했다” <중앙일보>
<조선일보>와 <중앙일보>가 붕어빵처럼 흡사한 여론조사결과를 28일자 1면 톱으로 보도했다. 기사 헤드라인도 쌍둥이처럼 닮았다. 조선일보는 ‘세월호법과 따로 경제법처리 78.5%’, 중앙일보는 ‘민생법안 분리처리 찬68%, 반31%’라는 제목을 달았다.
이날 <조선일보>는 26일 여론조사기관인 미디어리서치에 의뢰한 여론조사 결과를 2~3면에 걸쳐 폭 넓게 다뤘다. 전국 남녀 성인 1,000명을 대상으로 세월호특별법에 관한 여야의 대치정국, 3자 협의체 수용 문제, 야당의 장외투쟁 등을 묻는 조사였다.
조사결과 ‘세월호특별법과 별개로 통과 시켜야 한다’는 의견이 78.5%, ‘다른 법안들도 통과시켜서는 안 된다’는 의견이 16.5%로 조사됐다. <조선일보>는 이를 1면 왼쪽 상단에 원형 그래프로도 표기했다.
<중앙일보>도 26~27일 양일간 긴급 여론조사를 실시했다. 조사결과 ‘세월호특별법과 민생법안은 별개로 처리해야 한다’가 67.7%, ‘함께 처리해야 한다’는 답변은 30.6%인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동일한 시기에 여론조사를 실시함에도 불구하고, 세월호 핵심쟁점인 세월호특별법 여야 재합의와 박근혜 대통령의 역할에 대해선 조사 결과가 다르게 나왔다.
세월호 유가족들이 반대하는 여야 세월호특별법 재합의안을 두고 <조선일보>는 ‘여야가 재합의한대로 해야한다’는 의견이 48.5%, ‘재재협상을 해야한다’는 의견이 43.5%라고 보도했다.
반면 <중앙일보>는 ‘유가족들이 반대하는 만큼 여야가 다시 재협상해야 한다’라는 답변이 51.5%로 ‘재합의안대로 통과시켜야 한다’(46.1%)라는 답변보다 높게 나타났다고 보도했다. 같은 질의 내용임에도 여론 조사 결과가 상반되게 나온 셈이다.
박 대통령이 세월호특별법 문제에 나서야 하는지 묻는 질문에 대해서도 결과가 갈렸다. <조선일보>의 경우 ‘세월호특별법 제정은 국회의 역할이므로 대통령이 직접 나설 일이 아니다’는 의견이 응답자의 56.8%인 것으로 조사됐다.
그러나 <중앙일보>의 경우 유가족들이 세월호특별법 제정에 박 대통령이 직접 나서야 한다며 면담을 요구한 데 대해선 ‘대통령이 유가족들을 만나야 한다’는 의견과 ‘직접 나설 필요는 없다’는 의견이 각각 49.5%로 똑같았다.
- ‘김영오 단식 무력화 공작, 누가 주도하나?’
- 최경영, <조선> 왜곡보도에 “돈과 편견의 악귀들이냐”
- 檢 “朴대통령과 정윤회 안만나”.. <산케이>기자 기소방침
- 홍성담 화백, 결국 ‘세월오월’ 전시 자진 철회
- “정윤회, 박근혜의 사라진 7시간 의혹 검찰 조사받아”
- 청년단체 “朴대통령, 국민 외면 말고 특별법 답하라”
- 교학사 한국사 교과서, 수정본도 오류투성이
- “제주 해저터널? 박근혜 판 4대강 사업”
- “특별법 여당 꼼수, 끌려가는 야당 분노하는 유족들”
- <산케이> “대통령에 관한 보도 자유 어디까지 허용되나”
- “방한 중인 교황이 왜 불편한지 이해 못 하는 나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