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황 남기고 간 희망 ‘고통’으로 바꿔버린 염 추기경”

‘유족을 위로하지 못한 종교 지도자의 아쉬운 행보’

이미지 출처=JTBC 뉴스 화면 캡쳐
이미지 출처=JTBC 뉴스 화면 캡쳐
교황 방문으로 한국에는 새로이 천주교 바람이 불었다. 그의 행보에서 가장 눈에 띠었던 것은 아무래도 세월호 유가족 방문과 위로였다. 그런 교황의 가슴에 달린 노란 리본은 비록 작은 크기였지만 그 의미는 시국선언보다 무거웠다. 질병은 의사가 고치는 것이겠지만 때로는 질병보다 더 치명적인 마음의 아픔은 종교가 치유한다는 사실을 새삼 느끼게 해준 것이 바로 교황의 방문이었다.

그런 교황의 방문은 세월호 참사에서 한 발짝도 벗어나지 못한 한국국민들에게 신선한 충격이자 희망의 불빛이었다. 오란 말 하지 않았어도 찾아왔던 대통령은 이제 만나달라고 해도 유족들을 멀리하고 있다.

세월호 특별법은 여전히 침몰을 목전에 두고 표류하고 있다. 유민아빠는 목숨을 건 아니 목숨을 이미 버린 듯이 단식을 하고 있다. 거기에 가수 김장훈이 24일간이나 동참했고, 보다 못한 이승환마저 짧지만 사흘간의 동조단식으로 세월호의 아픔에 마음을 보탰다.

그런 차에 듣고도 믿지 못할 말이 전해졌다. 한국 천주교를 대표하는 염수정 추기경이 기자간담회를 통해 “세월호 유족의 아픔을 이용해서는 안 되며, 유가족들도 일부 양보해야한다”는 의미의 말을 한 것이었다.

추기경은 세월호 해법에 대한 기자들의 질문에 “아픔을 해결할 때 누가 그 아픔을 이용해선 안 된다는 생각이 든다”고 답했다. 이어 “정의를 위해 일한다는 생각에 빠져 고통 받는 사람들을 위한다면서도 그걸 이용할 수 있다며 정의를 이루는 건 하느님”이라고 부언했다.

이미지 출처=JTBC 뉴스 화면 캡쳐
이미지 출처=JTBC 뉴스 화면 캡쳐
추기경의 말을 듣는 순간 드는 생각이었다. 천주교 신자가 아닌 입장에서 말하기는 다소 조심스럽기는 하지만, 정의는 하느님이 이루지만 그것을 다시 망치는 것은 하느님의 뜻을 참칭하는 인간이라는 것이다. 중세의 가톨릭이 딱 그랬지 않은가. 염추기경의 발언은 유족의 고통 앞에서 중립을 지킬 수 없다던 교황의 발언을 떠올리게 했고, 더욱 비교가 되게 했다.

누군가 세월호 유가족의 아픔을 이용하는 사람이 있다고 하더라도 이번 추기경이 준 고통보다 크지는 않을 것 같다. 유가족도 어느 정도 양보해야 한다는 지극히 여당 측에 치우친 발언으로 유가족 아니 교황방문으로 정의에 대한 희망에 부풀었던 국민들에게 고통과 배신감을 안겨주었기 때문이다. 교황이 준 희망을 추기경은 고통으로 바꿔버렸다.

추기경의 발언이 보도되면서 교황의 방문으로 천주교 붐이 일 것만 같았던 민심에 찬바람이 쌩하고 불었다. 딱히 종교생활을 하지 않던 사람들이거나 혹은 냉담자들에게 일요일에 성당을 찾고 싶은 마음이 들게 했던 것이 교황의 방문이었다면 엄추기경의 이번 발언은 그런 마음을 싹 돌려버린 것이나 다름없다. 그럴 정도로 희망 후에 찾아온 고통과 분노가 크다는 의미다.

도대체 자식들을 잃은 부모가 그 이유를 알고자 하고, 잘못한 사람에게 벌을 주고자 하는 심정과 요구에서 무엇을 양보할 것이 있다는 것인가. 가수 이승환이 그랬다. 우리 국민은 참 불쌍하다고. 종교마저도 우리 국민을 불쌍하게 만들려는 것인지 답답한 일이다.

(☞국민리포터 ‘탁발’ 블로그 바로가기)

관련기사
저작권자 © 고발뉴스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