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이터> 단원고 학생들 ‘도보행진’ 전 세계 타전

“친구들 억울한 죽음, 진실 밝혀주세요” 학생들 목소리 전해

유력 통신사 <로이터>가 ‘친구들 죽음의 진실을 밝혀달라’며 국회까지 도보행진에 나선 단원고등학교 생존학생들의 소식을 전 세계로 타전했다.

외신 전문 번역 사이트 <뉴스프로>에 따르면, <로이터>는 15일 “한국 여객선 참사 생존 아이들, 전면 조사 추진을 위해 행진”이라는 제하의 기사를 통해 생존 학생들이 노란 팔찌를 차고 진상조사를 위한 법 제정을 촉구하는 행진에 나섰다고 전했다.

<로이터>는 “우리 친구들이 겪어야 했던 억울한 죽음 뒤에 숨겨진 진실을 밝혀줄 것을 요구한다”, “우리는 법에 대해 잘 모르지만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이것 뿐” 이라는 생존 학생들의 메시지를 전하며 350만명의 특별법 서명 동참 소식도 함께 보도했다.

 
 

<로이터>는 가족대책위가 국회 앞에서 단식농성을 진행 중인 현장의 분위기도 전하며 350만명의 국민이 직접 서명한 서명부가 416개의 박스에 담겨 국회에 전달되었다는 소식도 전했다.

또한 신문은 “선장을 포함해 세월호의 생존한 15명의 선원들은 근무 태만과 과실치사 혐의로 재판을 받는 중”이라며 “경찰은 여객선 운항사의 모회사를 소유한 집안의 가장을 잡기 위해 두 달 이상 수사를 펼치고 있다”고 세월호 사건에 관련한 수사 상황도 보도했다. (☞‘로이터’ 해당 기사 원문 보러가기) 

다음은 <뉴스프로>가 번역한 ‘로이터’ 기사 번역 전문.
번역 감수 : 임 옥

Surviving children of South Korea ferry disaster march to pursue full inquiry
한국 여객선 참사 생존 아이들, 전면 조사 추진을 위해 행진

BY JU-MIN PARK, REUTERS
July 15, 2014 8:11 AM
By Ju-min Park

SEOUL (Reuters) – Teenage survivors of South Korea’s worst maritime disaster in 20 years, many wearing yellow bracelets, walked out of classrooms on Tuesday and marched on parliament to demand enabling legislation for a inquiry into the more than 300 deaths.
More than half of the 75 children rescued from the ferry Sewol that capsized and sank on April 16 joined growing public calls for parliament to pass a special bill for an independent inquiry sought by victims’ families. More than 3.5 million signatures have been collected to demand its passage.

서울 (로이터) – 지난 20년에 걸쳐 한국에서 가장 끔찍했던 해양사고의 십대 생존자들이, 다수가 노란 팔찌를 찬 채로 화요일, 교실을 나서서 국회를 향해 행진하며 300명 이상의 사망에 대한 진상조사를 위한 법제정을 촉구했다. 지난 4월 16일 뒤집혀 침몰한 세월호에서 구조된 75명 중 절반이 넘는 학생들이 희생자 가족들에 의한 특별 조사를 가능케 하는 특별법 통과를 국회에 요구하는 점점 거세지는 대중의 요구에 동참했다. 이 법의 통과를 촉구하는 3백 5십만 이상의 서명이 모아졌다.

“The entire nation saw it on April 16. We ask that the truth behind the unfair deaths our friends suffered be told,” said a bespectacled boy taking part, who asked not to be identified.
“4월 16일 전국민이 이것을 보았다. 우리 친구들이 겪어야했던 억울한 죽음뒤에 숨겨진 진실을 말해줄 것을 우리는 요구한다”고 신원이 밝혀지기를 원치않은, 안경을 쓴 한 남자아이 참가자가 말했다.

“We don’t know much about the law, but if we don’t do this there is nothing we can do, so we ask that our wish is met.”
“우리는 법에 대해서는 잘 모르지만 우리가 이것을 안하면 우리가 할수 있는 일이 아무 것도 없기 때문에, 그래서 우리는 우리의 요구를 들어줄 것을 요청한다.”

Of the 476 passengers and crew, 339 were children and teachers from Danwon Highschool on the outskirts of Seoul. Only 172 people were rescued and the rest are presumed to have drowned.
476명의 승객과 선원들 중 339명이 서울 근교에 위치한 단원 고등학교의 학생과 교사들이었다. 겨우 172명이 구조됐으며 나머지는 익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The children passed though the school’s stone gates and down a boulevard, mostly in silence.
아이들은 대부분 침묵 속에 학교의 석조교문을 거쳐서 거리로 내려갔다.

Many wore the bracelets emblazoned with “Remember 0416″ or sashes and kerchiefs made out of yellow pieces of cloth – the color chosen to express dissatisfaction with the authorities’ handling of the disaster.
많은 아이들이 “Remember 0416”이 새겨진 팔찌를 차거나 노란색 – 정부당국의 참사대처에 대한 불만족의 표현으로 선택된 색깔 – 천으로 만든 띠나 스카프를 둘렀다.

Other marchers carried yellow flags. One sign read: “Shed light on our friends’ unfair deaths.”
다른 행진 참가자들은 노란 깃발을 들고 있다. 한 깃발에는 “우리 친구들의 억울한 죽음! 진실을 밝혀주세요!”라고 쓰여있다.

“Our children are marching with their pure hearts to console parents of their friends and ask to find the truth of the disaster,” said Oh Ji-yeon, the father of one survivor.
“우리 아이들이 순수한 마음으로 친구들의 부모님을 위로하고 참사의 진실을 규명해달라고 행진을 하고있다”고 한 생존자의 아버지 오지연 씨가 말했다.

The children made their way to a small park where 15 relatives of victims were undertaking the second day of a hunger strike to press for the bill. Marchers set up displays of yellow paper boats to draw attention to the strikers.
아이들은 15명의 유가족이 특별법의 통과를 요구하며 이틀째 단식농성 중인 작은 공원으로 향했다. 행진 참가자들은 농성자들에게 관심이 모아지도록 노란 종이배를 진열했다.

BOXES OF SIGNATURES
서명 상자들

Nearby, organizers set up neat rows of boxes, covered in yellow paper, each containing some of the 3.5 million signatures backing the petition to parliament. Several dozen adults had earlier marched to the site carrying yellow umbrellas.
인근에는 주최자들이 노란색 종이로 덮어지고 국회에 보내는 탄원을 지지하는 350만 서명 일부가 각각 담겨진 상자들을 단정하게 늘어 세웠다. 이에 앞서 수십명의 어른들이 이곳으로 노란 우산을 들고 행진했다.

The Sewol’s 15 surviving crew members, including the captain, are on trial on charges ranging from homicide to negligence. Security forces have been engaged in a manhunt for more than two months for the head of the family that owns the holding company of the ferry operator.
선장을 포함해 세월호의 생존한 15명의 선원들은 근무 태만과 과실치사 혐의로 재판을 받는 중이다. 경찰은 여객선 운항사의 모회사를 소유한 집안의 가장을 잡기 위해 두 달 이상 수사를 펼치고 있다.

Families of the victims and survivors say too little is being done to establish the truth about what led to the disaster on a routine journey to the holiday island of Jeju.
희생자 가족과 생존자들은, 휴양섬인 제주도로 일상적인 운항을 하던 중 재난을 맞은 사고에 대한 진실 규명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고 말한다.

The special law demanded by the petitioners would ensure their participation in an independent probe into the sinking.
유가족들에 의해 요구되는 특별법은 침몰에 대한 특별 조사에 가족들의 참여를 보장할 것이다.

The families have demanded the right to name half the experts from the independent team to pursue the inquiry.
유가족들은 특별 조사팀에 참여할 전문가들 중 절반을 명할 수 있는 권리를 요구했다.

Parliament has agreed to consider the bill, but is split on legal grounds over whether to grant the group investigative authority. Investigators have established that the Sewol was overloaded and traveling too fast on a turn when it sank.
국회는 이 법안을 고려하기로 합의했지만, 이들에게 조사 권한을 부여할지에 대한 법적 근거에 대해서 의견이 나뉘었다. 검찰은 세월호가 침몰할 때 과적했고 너무 빠른 변침을 했다고 결론을 내린 바 있다.

President Park Geun-hye’s government has come under heavy criticism for its handling of the disaster and the sluggish rescue operation. Her prime minister resigned but was reinstated after two failed attempts to find a replacement.
박근혜 대통령 정부는 재난에 대한 대처 및 부진한 구조 작업으로 큰 비난을 샀다. 총리가 사임했으나 후임을 찾는 일이 두 번 실패로 돌아가자 그를 유임시켰다.

(Additional reporting by Jinwoo Lee; Editing by Jack Kim and Ron Popeski)

 

관련기사
저작권자 © 고발뉴스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