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안산 시민 대책위는 24일 경기도와 안산시가 단원고를 공립 외국어 고등학교로 전환하는 지원 대책을 정부에 건의한 것과 관련해 “신중한 절차 없이 건의했던 안산시의 처사에 심각한 우려를 표한다”고 비판했다.
시민대책위에 따르면 안산시는 지난 5월 7일과 5월 19일 2차례에 걸쳐 경기도에 ‘세월호 사고 후유증 치유를 위한 지역 현안사항 관련 정책건의’를 한 바 있다.
이 내용에는 국립안산트라우마 치료센터 건립, 특별재난지역 선포관련사업 적극지원, 한부모가정 유가족보상관련 민법규정 신설 등 세월호 피해와 직간접으로 관련된 내용이 포함되어 있으나 이 밖에 스마트허브 기반시설 유지보수비 지원, 지역경제활성화를 위한 중앙역 교각하부 문화공간 조성 등 전혀 연관성이 없다고 판단되는 사업비의 지원요청도 포함되어 있다고 시민대책위는 전했다.
이와 관련 대책위는 "가장 직접적 피해학교인 단원고의 경우 사고 이미지로 인한 학생지원 급감이 예상된다는 이유로 특수목적고인 외고로 전환 육성해달라고 정책 건의하여 이번 논란을 야기 시켰다"고 비난했다.
이들은 "안산시는 세월호 사고와 직접 관련 없는 지역현안까지 이번 정책건의사항에 함께 끼워 넣는 형식으로 일을 처리해 마치 세월호 사고를 이용하여 기존 숙원사업을 해결하려는 듯한 오해를 불러일으키고 말았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세월호 사고가 국가의 책임이며 이로 인한 피해를 고스란히 안산이 떠안아야 하는 상황에서 국가가 보다 더 적극적으로 행정적, 재정적 지원을 해야 하는 것을 당당히 요구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고민과 준비의 부족과 졸속행정으로 논란만 키운 것"이라고 전했다.
시민대책위는 마지막으로 "관련 업무를 전담하게 될 안산시 세월호 사고 수습지원단의 역할을 정립하고 지역 내 다양한 역량들을 한 데 모아 함께 지역과제를 해결해갈 수 있도록 민관협력체계를 구축하며 가족대책위와 시민들로부터 충분한 의견수렴과 공론화를 통해 시급한 대책과 중장기 대책 등을 구별하고 이에 적절하게 적극적인 행정조치들을 진행하길 촉구한다"고 전했다.
* 이 기사는 인터넷 뉴스 신문고(http://www.shinmoongo.net/sub_read.html?uid=59180)에도 동시 게재되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