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수색·구조 보고서 “불가피하게 비공개?”

유가족들 “세월호 참사 관련 낱낱이 공개하겠다더니” 분통

범정부사고대책본부(이하 대책본부)가 네덜란드 구조·구난 전문업체 SMIT와 체결한 세월호 실종자 수색·구조 연구용역이 비공개 조건으로 계약된 것으로 확인됐다.

22일 <헤럴드경제>에 따르면 지난달 30일 대책본부는 세월호 실종자 수습에 대한 기술자문을 받기 위해 SMIT를 자문 용역사로 선정. 이와 관련된 연구 보고서를 제출 받기로 계약했다.

당시 대책본부는 “글로벌 업체의 객관적이고 전문적인 기술 자문을 통해 피해자 가족과 불필요한 오해를 해소하고, 신속한 실종자 수습 및 원활한 구난에 크게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대책본부는 22일 정보공개법 상 해당 보고서를 비공개 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을 표명했다. 대책본부의 한 관계자는 이날 go발뉴스와 전화 인터뷰에서 “SMIT와 계약 체결 당시 계약 조건에 ‘비공개’가 포함돼 있어 보고서에 관한 질문에 답변 할 수 없다”고 말했다.

©'go발뉴스'
©'go발뉴스'

이 관계자는 보고서 공개 요청에 “공공기관의 정보 공개에 관한 법률 제9조 제1항 제7호 및 계약상대자와의 계약조건에 따라 불가피하게 비공개함을 알린다”고 전했다.

대책본부가 SMIT와 체결한 보고서 연구용역 비용은 총 1억3000만원으로 SMIT에서 파견한 연구원 5명의 체류비용(1인당 하루 체류비용 1,000달러)과 왕복 비행기표, 숙박비 등이 포함됐다. 용역비용은 계약을 추진한 해양수산부가 부담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세월호 수색·구조 보고서가 비공개 논란을 빚자, 박승기 해양수산부 대변인은 “계약 당시 양측 모두 비공개로 체결한 것으로 전해 들었다”며 대책본부의 입장을 반복했다.

세월호 참사에 관련된 모든 것을 낱낱이 밝히겠다는 정부의 입장과 달리 세월호 수색·구조 보고서를 왜 공개하지 않느냐는 기자의 질문엔 “세월호 사고 원인에 대해 밝히는 보고서가 아닌 수색 구조 방법에 대한 보고서이다. 연구한 내용을 가지고 수색·구조하는데 도움이 되면 되는 거지, 굳이 이걸 외부에 공개적으로 밝힐 이유가 있느냐”고 답했다.

한편 해당 소식이 전해지자, 세월호 유가족들은 “대책본부가 왜 비공개 조건으로 계약을 맺었는지 이해하기 어렵다”는 반응이다.

유가족들은 “세월호 참사에 대해 사고 관련과 향후 수습 방향이 담긴 보고서를 공유하지 않는 점이 납득할 수가 없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고발뉴스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