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 세월호 사고에 ‘정보 경찰’ 총 801명 투입

희생자 가족들 “아침에 대통령이 사과하고 뒤에서 사찰 했나”

경기 안산 단원경찰서 정보보안과 직원 2명이 진도로 내려가던 세월호 참사 희생자 가족들을 미행하다 들킨 것은 지난 19일 저녁이었다.

이들은 전북 고창 고인돌휴게소에서 정체를 들키자 처음에는 경찰이 아니라고 부인했지만 지속된 가족들의 추궁에 단원서 정보보안과 소속 강 모 경위와 박 모 경사라고 밝혔다.

ⓒ 팩트티비
ⓒ 팩트티비

이후 두 직원은 일부 유가족들과 함께 안산 합동분향소로 돌아와 가족에게 “현장상황 파악을 위해서 내려갔다. 오전에 (대통령)담화문이 발표되자 수색에 차질이 우려됐기 때문에 따라 내려갔다”고 밝혔다. 하지만 “누구의 지시를 받았는가”라는 가족들의 질문에는 대답하지 못 했다.

이에 단원서 정보과장이 직접 나서 자신의 지시했다며 “유가족 분들을 위해서 도움을 드리려고 지원을 하라고 지침을 내렸다”고 거듭 해명했다.

또 “(가족들이) 내려갈 때 안전사고 대비를 위해서였고, 진도에 경찰들이 있지만 우리도 단원고 일련의 사정에 대해현장에서 알아야할 상황이 있어서 보냈다”며 “감시 목적이 아니고, 불법이 아니다. 다만 가족들에게 사전에 알리지 못한 건 사과한다” 밝혔다.

하지만 유가족들은 이런 단원서의 해명을 받아들이지 않았다. 그러면서 “그 동안 유가족들을 사찰해 정보 보고한 내용을 공개하라”고 요구했다.

이에 정보보안과 과장은 “관련 규정이 있고 절차상 지금은 할 수 없다”고 거부하자 가족들은 “절차 따지다 우리 아이들이 다 죽었다”고 강하게 성토했다.

ⓒ 팩트티비
ⓒ 팩트티비

세월호 희생자·실종자·생존자 가족대책위원회(이하 가족대책위)는 20일 “아이들을 억울하게 잃은 부모들을 범죄자로 몰고 있다”면서 “경찰들의 미행은 처음이 아니다. 유가족을 대하는 정부의 태도가 앞에서 이야기하는 것과 뒤에서 대하는 것이 완전히 다르다”고 규탄했다.

유가족들 입장으로선 사고 초기에 구조과정에서 무능을 드러내 수많은 생명을 희생시킨 정부가 자신들을 범죄자 정보 수집하듯 자신들의 뒤를 미행하고 동향을 캐온 사실에 분노하고 있는 것이다.

더욱이 정보보안과는 기본적으로 탈북자관리와 국가 안보가 관련한 업무를 한다. 또 중요한 상황 시 경찰과 관련된 사안들을 파악해 경찰력 동원 여부를 정한다. 안전을 위해서 유가족들 몰래 ‘미행’한 경찰의 해명과는 거리가 있어 보이는 업무다.

하지만 경찰의 유가족 ‘사찰’ 활동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새정치민주연합 김현 의원실이 20일 경찰청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경찰은 사고가 발생한 지난달 16일부터 이날까지 안산 단원고와 합동분향소 등에 모두 801명(누적인원)의 정보 경찰을 투입한 것으로 확인됐다.

사고 초기에는 하루에 20명 수준이었으나 지난 2일쯤부터는 30명 가까이로 늘렸다. 단원서와 경기경찰청에다 경찰청 소속 정보 경찰까지 투입됐다. 여기에 진도 현지 인원까지 더하면 정보 경찰만 모두 1700여명으로 추정된다.

19일 밤 가족들의 항의는 결국 최동해 경기지방경찰청장이 직접 사과를 하고 나서야 끝이 났다. 최 청장은 “정보 수집을 한 건 유족 분들에게 도움 되고 질서유지를 위한 것”이라면서도 “불법은 아니지만, 동의 없이 숨어서 한 것은 사과드린다”고 밝혔다. 이어 “앞으로 가족 분들이 동의하지 않는 한 사복경찰 활동을 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그럼에도 일부 유가족들은 “아침에 대통령이 사과하고 뒤에서 우릴 사찰 했나”며 분노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고발뉴스닷컴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
모바일버전